질소(窒素) 및 유황시용(硫黃施用)이 수도(水稻)의 수량(收量)과 함유황(含硫黃)아미노산(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and Sulfur Application on Yield and contents of Amino Acids Containing Sulfur of Rice

  • 김복진 (영남대학교 농학과) ;
  • 백준호 (영남대학교 농학과) ;
  • 최혁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 Kim, Bok-Jin (Dept. of Agronomy, Yeungnam Univ.) ;
  • Back, Jun-Ho (Dept. of Agronomy, Yeungnam Univ.) ;
  • Choi, Hyuk (Dept. of Environ. Res., Teagu City Cover,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
  • 발행 : 1997.06.30

초록

질소 및 유황시용이 수도의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와 함유황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섬진벼와 삼강벼를 공시품종으로하여 요소구, 요소+광물유황구, 요소+광물유황 2배량구, 요소 2배량+광물유황 2배량구, 유안구, 유안+광물유황구, 유안 2배량구로 처리하고 pot 시험을 수행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앙후 50일의 초장 및 분얼수는 양 품종 모두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며, 질소 및 유황시용량 증가에 따라 분얼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섬진벼에서는 수량과 주당수수 및 천립중에서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으며, 삼강벼에서는 수량과 주당수수에서 처리간에 유의차가 있었다. 섬진벼와 삼강벼 모두 질소 및 유황의 처리량 증가에 따라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섬진벼 및 삼강벼 모두 수량구성요소중 주당수수만이 수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4.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수확기의 짚 및 현미중 질소와 유황 함량은 증가되었고. N/S비는 반대로 낮아졌다. 5. 수량과 수확기의 짚 및 현미중의 질소와 유황 함량간에는 각각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N/S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6. 수확기 짚 및 현미중의 질소 함량과 유황 함량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 증가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고, 현미중 함유황아미노산은 짚중 유황 함량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짚중 질소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8. 질소 및 유황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수량 조단백질 함량 및 함유황아미노산(cystine, methionine)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 pot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Seomjin-byeo and Samgang-byeo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trogen and sulfur on the growth, yields, and sulfur containing amino acid content of rice. The yields and number of tillers at 50 days after transplanting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amounts of nitrogen and sulfur, but N/S ratio was decreased in both varieties. There were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yield and contents of nitrogen and sulfur in straw and brown rice, bu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S ratio and yields at harvesting stage. Crude protein content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mounts of nitrogen and sulfur. contents of amino acid containing sulfur in brown ri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lfur and nitrogen contents in rice straw.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