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지연시간 분석에 의한 가변적 동기화

An Adaptive Synchronization by Analyzing the Delay Time of Media

  • 서영건 (경상대학교 전산개발연구소) ;
  • 오해석 (숭실대학교 컴퓨터학부) ;
  • 심종채 (호남석유화학 전산실) ;
  • 김호용 (영진전문대학 전자계산학과) ;
  • 김현주 (경상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과학과)
  • 발행 : 1997.1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다양한 미디어의 동기화를 위해서 미디어 지연시간(delay time)의 편차를 분석하여 대기시간을 적용하여 동기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미디어 트래픽의 손실률과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대기시간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외부변수의 값을 결정한다. 먼저 제안된 시스템은 회의를 시작하기 전에 더미 스트림을 발생시켜 지연지터의 편차를 구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하여 미디어의 표현시간을 정의한다. 미디어 스트림이 표현되는 시간은 기준시간(basetime)+논리 시간+대기시간이 된다. 이 때 대기시간을 적절하게 늘이고 줄이기 위해서 대기시간 변경율과 표본단위를 이용하는데, 평가기준은 대기시간을 변경시키는 횟수, 평균 대기시간, 지연도착율, 평균 지연도착시간을 이용한다.

This thesis Proposes a media synchronization mechanism for video conferencing system by analyzing a variation of the delay time of media. Using this mechanism, this thesis analyzes the media traffics and determines the values of external variables important on waiting time. This system uses some dummy streams to get the time. When two hosts are initially connected, they change the dummy streams by which a logical time of the sender may be extracted. The time presenting a media stream is a sum of base time, logical time and the waiting time. At this time, for the purpose of optimally adjusting the waiting time, this mechanism uses the rate of updating the waiting time and the sampling unit of media. These values are acquired by analyzing the waiting times, the delay rates and the delayed arrival tim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