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의 홍역 특이 IgG

Measles Specific IgG in Adolescents

  • 윤재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신영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기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정지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독고영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Yoon, Jae K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hin, Young Ky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Kee H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ung, Ji Ta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Tockgo, Young Ch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발행 : 1997.06.20

초록

목 적 : 청소년기의 홍역 특이 IgG 항체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연령 증가에 따른 흥역 특이 IgG 항체 양성를 및 항체 역가를 알아보고, 홍역 유행 예방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7월까지 12세~17세의 서울 시내 3개 중,고등학교 학생 216명 (남:110, 여:106)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로 흥역 특이 IgG를 측정하였다. 홍역 특이 IgG 농도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110AU/m1이상인 경우 항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홍역 특이 IgG 양성률은 전체적으로 91.2%였으며, 12세 94.7%, 13세 82.8%, 14세 83.8%, 15세 91.8%, 16세 95.8%, 17세 100%였고,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항체 양성자들의 평균 흥역 항체 역가(펑균${\pm}$표준펀차 AU/ml)는 전체적으로 $256{\pm}90$이었으며, 12세 $281{\pm}119$, 13세 $248{\pm}86$, 14세 $263{\pm}93$, 15세 $249{\pm}86$, 16세 $270{\pm}88$, 17세 $225{\pm}78$이었고,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청소년기에 홍역 특이 IgG 양성율은 91.2%로 청소년중 상당수가 홍역 유행시 이환이 가능한 상태임을 보여주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청소년에 대한 재접종을 고려해야하며 향후 재접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determine the age-specific seropositivity and the level of measles specific IgG in vaccinated adolescents, the measles specific IgG titers were measured from the sera of junior &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 Methods : From May to July in 1996, 216 sera were collected from junior & senior high school students(male : 110, female : 106) aged 12 to 17 years who were vaccinated and had no history of natural measles. Measles specific IgG titers were measured using ELISA method($SIA^{TM}$ Measles IgG Kit, Sigma Co. St. Louis, Mo). Results : The seropositivity of measles specific IgG in vaccinated adolescents aged 12 to 17 years was 91.2%.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ge and seropositivity as well as between age and measles specific IgG level. Conclusions : We consider that our data suggest the necessity of revaccination of measles in adolescents. Further considerations should be require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revaccination method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evaccination of previously vaccinated adolesc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