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Feed Value of Autoclaved Hatchery By-products for Poultry

가압열처리한 부화부산물의 화학적 조성과 닭에 대한 생물학적 사료가치

  • 이규호 (강원대학교 사료생산공학과)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hatchery by-products as feed resources. Four kinds of by-products from a commercial hatchery, i. e., autoclaved day-old broiler or egg type chicks, dead embryos & infertile eggs of both chicks were used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bioavailability test. Chemical compositions were obtained by AOAC (1990) method, and amino acid and energy bioavailabilities were determined by the method of Sibbald (1976).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day-old chicks (60.27∼62.59) were higher than those of dead embryos & infertile eggs (39.24∼40.09) , whereas the crude fat contents of all by-products were not different. The crude ash contents were higher in dead embryos & infertile eggs (29.18∼34.49%) than in day-old chicks (6.50∼6.71%). The Ca contents of dead embryos & infertile eggs (8.79∼10.82%) were higher than those of day-old chicks (1.29∼l.30%).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verall amino acid availabilities and ME contents were higher in day-old chicks than in dead embryos & infertile eggs. It seems that the day-old chicks of egg strain can be used as a high protein - high energy feed resources and the dead embryos & infertile eggs of broiler or egg type as a high protein-high calcium feed ingredients.

부화부산물을 사료화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압열처리한 육계 초생추와 난용계 수평아리 , 육계 사롱란 및 난용계 사롱란 등 4가지 부화부산물 사료의 화학적 조성과 생물학적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조지방함량은 모든 부산물사료에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단백질함량은 초생추 부산물구들이 60.27∼62.59%로 사롱란구들의 39.24∼40.09% 보다 높았으며, 조회분은 반대로 사롱란구들이 29.18∼34.49%로 초생추 부산물구들의 6.50∼6.71% 보다 높았다. Ca 과 Mg 함량은 사롱란구들이 초생추 부산물구들 보다 높았다. P 함량은 초생추구들이 사롱란구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며, K Na Zn 함량은 초생추와 사롱란에서 모두 난용계가 육용계보다 높은 경향이었으나 P은 육용계가 난용계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아미노산의 총량은 초생추구들이 54.I5∼56.20%로 사롱란구들의 29.16∼31.45% 보다 높았으며, 초생추와 사롱란에서 모두 난용계가 육계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아미노산이용율은 전반적으로 초생추구들이 사롱란구들 보다 높았으며, 초생추와 사롱란에서 모두 육용계가 난용계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ME가는 전반적으로 초생추구들이 사롱란구들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난용계 수평아리는 고단백질-고에너지 사료자원으로, 난용계 및 육계 사롱은 고단백질-고칼슘 사료자원으로 이용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Official Methods of Analysis(5th ed.) AOAC
  2. Poultry Sci v.61 Holding techniques for hatchery wastes Hamm,D.;Whitehead,W.K.
  3. Poultry Sci v.55 A rapid bioassay for true metabolizable energy in feedingstuffs Sibbald,I.R.
  4. Poultry Sci v.53 Processed hatchery by-product as an ingredient in poultry rations Wismam,E.L.
  5. 농림수산 주요통계 농림수산부
  6. 월간양계 육계 및 계란 전망 대한양계 협회
  7. 현대양계 4/4분기 산란계 육계 관측결과 축협중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