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총조사의 방법과 평가

Methods and Evaluation of Korean Population Census

  • 김태헌 (한국 교원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 발행 : 1997.06.01

초록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인구 총조사 자료는 질적으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사의 완전성이 최소 97%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연령보고의 오류도 세계에서 가장 낮은 그룹에 속하고 있다. 그러나 연령계층별 오차율의 차이, 조사방법의 비경제성 등은 앞으로 개선되어야할 분야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장래 발전을 위하여 실제 고려 할 수 있는 주요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1. 국민 모두 기초 교육을 받은 우리 사회에서 자계식 조사의 재시도를 적극 검토하여 면접 타계식 조사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비를 절약할수있는 방안을 강구할때이다. 2. 정확한 연령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4개의 조사사항(보통나이, 띠, 생년월일,양음력)을 질문하여 연령조사방법은 노력에 비하여 실효성이 높지 않으므로 조사 항목의 단순화를 검토할때이다. 3. 사후 조사를 더욱 연구하여 연령 자료만이 아니라 그외 주요조사항목에 대한 정확한 평가 결과를 공표하여 활용하면 총 조사의 발전과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는 계기가 될것이다. 4. 영유아인구와 이동이 많은 연령계층의 순 누락이 많은것은 총조사가 반복되어도 계속나타나는 현상이므로 특히 이 연령계층에 해당되는 인구의 확인을 위한 조사항목을 두어서라도 조사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노력하여야 한다. 5. 표본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1995년 총조사 2% 표본 Data File을 조기에 편집하여 일반에 공개함으로써 특성별 자료의 활용가치를 높여야 할것이다. 또한 통계자료의 효율성은 시계열 축적에 있으므로 1985년 이전 총조사 2% 자료의 File화와 시계열의 축적이 가능해질때 우리나라 사회과학연구의 발전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것이다.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quality of Korean population census results is very high. The completeness of the census has been over 97% since 1960. The age errors are very low and they belong to the lowest group in the world. However, Korean census has several problems to be solved, which are suggested as the followings: 1) Since most Koreans are basically educated, we will be able to adopt the self-reporting survey method for the next census instead of the interview method. Then, we can save a lot of time and cost in a census. 2) We have to simplify, the items of age since the effects of the four age items (Korean ago, zodiac year at birth, birth date in solar or lunar calendar) are not large enough to compare to the investments of manpower and costs. 3) It should be help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census data if the post enumeration survey is conducted more successfully and the results evaluated for more items not only age are published. 4) For the reduction of the error rates for the age groups of infants, young children and the young labours who are moving frequently, we need some special items for the compliteness of the population census by age group. 5) We have to prepare and release the 1995 2% sample data file to the public users for the improvement of the usefuleness in time. Furtheremore, it is also very important for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that the back series of 2% sample files from 1985 census data are reconstruct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