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성인 연조직 측모의 비교분석

SOFT TISSUE PROFILES OF YOUNG ORIENTAL ADULTS

  • 정규림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박영국 (경희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
  • Chung, Kyu-Rhim (Department of Orthodontics, Kyung Hee University) ;
  • Park, Young-G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Kyung Hee University) ;
  • Chu, Stephen (Department of Orthodontics, Kyung Hee University) ;
  • Fu, Min-Kui (Department of Orthodontics, Beijing Medical University)
  • 발행 : 1997.12.01

초록

이 연구는 정상 교합과 양호한 안모를 가진 169명의 남자와 174명의 여자 아시아 각국 인을 대상으로 연조직 측모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100명의 한국인, 100명의 중국인, 72명의 월남인 및 71명의 일본인으로부터 촬영된 측모두부방사선사진 상에서 9개의 계측점을 설정하고 전산 입력한 뒤 6 개의 연조직 계측 항목에 대한 측정을 시행한 후 통계 처리하였다. 분산 분적에서 중국인의 총 측모(GI'-Pr-Pg')는 한국인이나 월남인에서 보다 적은 돌출도를 보였다(P<0.01). 중국인의 안면평면측모(GI'-Sn'-Pg') 역시 월남인 보다 적은 돌출각을 나타내었다(P<0.01). 홀더웨이의 하순각(Pg'-LS:N-B)은 월남인에서 가장 컸고 다음으로 중국인, 한국인, 일본인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월남인의 상순은 중국인에서보다 리???츠의 심미적 기준선에 더 많이 근접하였고 한국인과 일본인에서의 상순은 기준선보다 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하순은 심미적 기준선에 근접한 반면 중국인과 월남인의 하순은 기준선 보다 2 mm 전방에 위치하였다. 한국인과 월남인의 비순각은 중국인과 일본인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성차는 기본적으로 코의 높이에서 상이하였고 이로 인하여 여자에서의 총 측모각과 비순각이 남자보다 크게 나타났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아시아 각국인 들의 연조직 측모에 대하여 단일 표준치에 의한 분석 평가가 적절하지 않으며 각 인종별 표준치 설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our groups of Oriental young adults (169 males and 174 females) with normal occlusion and well balanced faced. Lateral cephalograms of 100 Koreans, 100 Chinese, 72 Vietnamese and 71 Japanese were digitized and six profile measures were computed. Analyses of variance showed that total facial profile(Gl'-Pr'-Pg') of Chinese was significantly less convex than the profile of Koreans or Vietnamese. Facial profile(Gl'-Pr'-Pg') of Chinese was also significantly less convex than that of Vietnamese. Holdaway's soft tissue angle(Pg'-LS:N-B)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Vietnamese than Chinese and Koreans, who were in turn greater than Japanese. The upper lip of Vietnamese is significantly closer to Ricketts' esthetic plane, than Chinese; Koreans and Japanese are significantly further behind the plane than Chinese. The lower lip of Koreans and Japanese was close to the esthetic plane, while Chinese and Vietnamese were approximately 2mm ahead. The nasolabial angle was significantly smaller for Chinese and Japanese than Koreans and Vietnamese. Sex differences were primarily dependent on the nose; total facial convexity and the nasolabial angle wert significantly larger in females than 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 single standard of facial Profile is not sufficient or appropriate for Oriental pati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