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에 메주 분말 급여가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ju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

  • 김종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이영일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김복란 (강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 최용순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이상영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Kim, Jong-Dai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Il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Bok-Rha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ng-Soon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Young (Division of Food and Bio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7.04.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in vivo에서 메주단백질이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4주령의 Sprague-Dawley rats를 이용하여 0.5% 콜레스테롤을 함유한 식이에 증자대두분말, 메주분말을 단백질원으로 첨가하여 4주간 자유 급식한 후 혈청 및 간장 중의 지질농도와 분변 중 담즙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증자대두, 메주분말을 포함한 식이를 섭취시켰을 때 실험기간 동안 평균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간장의 무게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메주분말 섭취군이 증자대두 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혈청 HDL-콜레스테롤 농도에 유의한 차이는 군간 관찰되지 않아, 메주분말 투여에 의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는 VLDL-, LDL-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에 기인함을 보여 주었다. 혈청 중 인지질, 중성지질, 유리지방산 농도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장 중 중성지질, 인지질, 콜레스테롤 농도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편, 분변 중의 담즙산 함량은 메주분말 투여군이 대조군과 증자대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p<0.05). 이러한 결과로부터 메주분말 투여에 의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효과는 담즙산 배설량의 증가에 기인된것으로 판단되며,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대두단백질(메주)은 발효되지 않은 대두단백질에 비하여 강한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Meju supplementation to high cholesterol die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Steamed soybean, Meju) and were fed with 0.5% cholesterol diet. Serum and liver lipid profiles and fecal bile acids excretion were examined after four weeks of experimental diet. Food intake, weight gain and liver weigh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serum was significantly lower in Meju group compared to steamed soybean group(p<0.05). HDL-cholesterol, triglyceride, phospholipids and nonestrified fatty acid concentrations in seru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s concentrations in liv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Fecal bile acid excretion were markedly higher in Meju groups than the group fed steamed soybean(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olesterol lowering effect by Meju supplementation might be resulted from the modulation of fecal bile acid excretion in ra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