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Toha-jeot

시판 토하젓의 향기성분

  • Lee, Jung-Suck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oo, Dong-Sik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un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Jang, Sung-Min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Heung-Gil (Dept. of Food Scienc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Cho, Soon-Yeong (Dept. of Food Science,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Cha, Yong-Jun (Dep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Eung-Ho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정석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주동식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훈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장성민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최흥길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
  • 조순영 (강릉대학교 식품과학과) ;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응호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7.04.01

Abstract

Toha-jeot, a traditional salt-fermented seafood in Korea, was purchased on the market in order to analyze the flavor compounds.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unfermented and fermented Toha-jeot were compared by vacuum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 total of 104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cted in both samples. Of these, 66 were positively identified, composed of aldehydes(14), ketones(8), alcohols(30), terpenes(20), sulfur-containing compounds(10), aromatic compounds (6), esters(12) and miscellaneous compounds(8). Levels of several other compounds such as aldehydes, terpenes, sulfur-containing compounds and esters decreased with fermentation time, whereas alcohols, ketone and aromatic compounds increased. Particularly, levels of alcohols in fermented Toha-jeot was 21 times higher than those of unfermented on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oth samples were composed of terpenes, sulfur-containing compounds, esters and ethanol.

전라남도 지방의 전통수산발효식품인 토하젓을 현대기호에 맞는 지역특산품으로 발전시킴과 동시에 품질표준화 및 고급화를 유도하기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2종류의 시료, 즉 담금직후 및 90일간 저온$(5{\pm}2^{\circ}C)$에서 숙성발효시킨 토하젓을 구입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2시료에서 총 104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으며, 이중에서 담금직후의 토하젓에서 70종, 숙성된 토하젓에서는 68종이 검출되었다. 내부표준물질(TMP)에 대한 각 화합물의 상대적 면적비로 환산하였을 경우, 담금직후의 토하젓에는 함황화합물, terpene류, alcohol류 및 ester류 화합물 순으로 그 양이 많았으며, 숙성된 토하젓은 alcohol류, 함황화합물, terpene류 및 ester류 화합물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숙성된 토하젓은 담금직후의 토하젓에 비해 alcohol류, ketone류 (및 방향족 화합물의 양이 많았고, aldehyde류, terpene류, 함황화합물 및 ester류 화합물은 적었다. 특히 alcohol류의 경우, 숙성된 토하젓이 당금직후의 토하젓에 비해 약 21배 정도 많았는데, 이는 발효과정 중 당의 분해로 인해 생성된 ethanol의 양이 증가한데서 기인되었다. 한편 토하젓의 특이한 제조방법에 따라 첨가된 부원료의 영향으로 인해 2종류의 시료 모두 생강의 향기성분인 terpene류, 마늘의 향기성분인 함황화합물, ester류의 양이 많았는데, 이들 휘발성 성분들과 발효 중 증가한 ethanol이 어우러져 시판 토하젓에 독특한 풍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