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icacy Evaluation Techniques for Barrier Creams

보호크림 효능 평가 방법의 개발과 적용

  • Moon, Seung-Hyun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eok-Woo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Jeong-Gu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ang-Duck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ang, In-Jin (Department of Pharma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linical Pharmacology Unit/SNUH) ;
  • Shin, Sang-Goo (Department of Pharma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linical Pharmacology Unit/SNUH) ;
  • Eun, Hee-Chul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Dae-Hun (Department of Derma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Published : 1997.07.30

Abstract

Background : Barrier creams are essential for the protection against irritant material which may be in contact with skin. The evaluation techniques for barrier creams are not fully established, so many methods have been used. We applied efficacy evaluation methods to barrier cream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Method : In the first experiment, four kinds of irritants were applied and occluded by large Finn chamber in 20 volunteers after the application of barrier creams or moisturizer. Assessment of irritation was carried out every day, after which barrier creams and moisturizer were applied again. Experiments were performed from Monday to next Friday with a break in Sunday. Irritation was assessed by visual scoring, laser Doppler flowmetry(LDF), transepidermal water loss(TEWL), and erythema index(EI). On the control sites only irritants were applied for the same periods. In the second experiment only irritants were applied in the first 3 days, and thereafter barrier creams and moisturizers (without irritants) were applied every day to know whether the effects of them were due to the protection from irritants or to the p개motion of wound healing. Results : In the first experiment, all 3 creams were effective against NaOH. Good effects were shown also in case of SLS. But they were not successful in the protection from lactic acid or toluene. Among non-invasive measurements, the order of sensitivity was TEWL, LDF and EI. No wound healing effect of three creams was demonstrated in the second experiment. Conclusion : We suggest that above procedures and methods can be well utilized in the assessment of efficacy of barrier creams in the future.

연구배경 : 보호크림의 사용은 직업적으로 자극물질에 노출되는 경우에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보호크림의 효능 평가방법은 연구자에 따라 다르며 국내에서는 아직 그 평가방법 및 효능에 대해 알아 본 바가 없기에 저자들은 이에 대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제1실험에서는 2가지 보호크림 및 1가지 보습제를 비교하였는바, 이들을 도포하고 나서 30분 경과후 4가지 자극물질을 large Finn chamber로 밀폐하였으며, 매일 자극정도를 관찰하고 다시 보호크림, 보습제 및 자극물질을 도포하는 것을 반복하였다. 첫주 월요일부터 다음주 금요일까지 시행하되 일요일에는 쉬는 것으로 하였다. 자극의 평가방법은 육안적 관찰, 피부 혈류 측정(LDF), 경피적 수분 손실(TEWL), 홍반지수(EI)의 4가지를 이용하였다. 대조군은 아무것도 바르지 않고 자극물질만을 도포하는 것으로 하였다. 제2실험에서는 처음 3일간은 보호크림 및 보습제를 바르지 않고 자극물질만 도포했으며 이후에는 보호크림 혹은 보습제만을 발라서 보호크림이나 보습제의 효과가 자극의 방지에 의한 것인지, 창상 치유능력에 기인한 것인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결 과 : 제1실험에서는 NaOH로 자극한 경우에 3가지 크림 모두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SLS에 대해서도 비슷하였다. lactic acid나 toluene에 대해서는 뚜렷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비침습적 측정방법에서는 TEWL, LDF, EI 순으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2실험에서는 3가지 크림이 창상치유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서 제1실험의 결과가 자극의 방지에 의한 것임을 보여 주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볼때 상기 방법은 보호크림의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자극물질에 따라 보호크림의 효능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