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PES OF INCEST AND FAMILY DYNAMICS

근친강간의 유형과 가족 역동성

  • Park, Hye-Young (Department of Social Work,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Kim, Yoon-Ock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ong, Kang-E (Div. of Child & Adol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박혜영 (서울대학병원 의료사회사업실) ;
  • 김연옥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홍강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 청소년 정신과)
  • Published : 1996.06.29

Abstract

This paper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s of incest and family dynamics. 9 incest cases were collected from the Department of Social Work,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and an adoption agencies. The study cas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f incest, father-daughter incest, mother-son incest, sibling incest. The father-daughter incest families revealed various dysfunctional family dynamics such as sociopathic father, psychologically and physically absent mother, pseudomature child, and lack of communications among family members. In mother-son incest families, the fathers were absent and the mothers abused their sons as an outlet for their sexual desire, which was most pathological, among three types of incest. Sibling incests were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parental supervisions and appropriate emotional care, and younger sibling becoming a sexual outlet of older sibling. It is evident that the incest does not occur simply because of pathology of one family member but because of family dystunction. Therefore the incest was a kind of 'family disease', and the focus of treatment should be on the whole family.

본 논문은 근친강간의 사례분석을 통해 가족의 역동과 유형간의 관계를 근친강간이 발생한 가족의 유형을 부녀 근친강간, 모자 근친강간, 형제 근친강간으로 분류하여 유형별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근친강간은 유형별로 가족의 역동성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부녀 근친강간에서는 가해자인 아버지가 정신병질적이거나 사회병질적이고. 가정에서의 어머니의 역할이 적절히 수행되지 않거나 역할 자체가 부재하며, 대신에 피해 자녀가 어머니의 역할을 대신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가족간의 의사소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하나의 특징으로 드러났다. 모자 근친강간에서 드러나는 가족역동의 가장 특기할 사실은 배우자가 없는 어머니가 자신의 성적, 정서적 욕구를 아들과의 성행위를 통해 해소하는 퇴행적인 모습이었다. 형제 근친강간은 대부분 손위 가해 형제의 성적 호기심이나 성욕구를 손아래 형제와의 성행위를 통해 분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특히 부모의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역기능적인 가정환경 에서 촉발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근친강간은 전체 가족병리의 표현으로 보아야 하며, 피해자, 가해자에 대한 개별적인 치료뿐만 아니라 가족의 역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가족 전체가 치료 대상이 되어야 한다. 동시에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건강한 가족기능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