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Courses of Cavitary Lesions in Pulmonary Tuberculosis

처음 진단시 발견된 공동성병변의 경과

  • Park, Seung-Kyu (Department of Chest Surgery,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 Choi, In-Hwan (Department of Chest Surgery,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 Song, Sun-Dae (Department of Chest Surgery,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 박승규 (국립마산결핵병원 흉부외과) ;
  • 최인환 (국립마산결핵병원 흉부외과) ;
  • 송선대 (국립마산결핵병원 흉부외과)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Objective : Cavitary lesion in pulmonary tuberculosis sometimes makes problems in the course of treatment. Especially, retreatment cases tend to respond poorly to current antituberculosis agents. So, authors tried to render a guideline for clinical approach toward cavitary lesions in pulmonary tuberculosis. Methods : Retrospective analysis of 33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with cavitary lesions was made. All the patients had got treatment at National Masan Tuberculosis Hospital from Jan. 1995 to Aug. 1995. Results: The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was 10:1. Age distribution was 69.7% in 3rd and 4th decades. The locations of cavitary lesion were 60.6% in right upper lung field and 36.4% in left upper lung field. In the extent of disease, there were 12 cases(36.4%) in moderate advanced and 21 cases in far advanced. Cavitary lesions were closed in 5 eases and remained in 28 eases. In the cases of closed cavity, it was happened within $10.6{\pm}4.72$ months after they took treatment, the size of cavity was $35.5{\pm}17.1$ in long diameter, $27.0{\pm}12.2$ in short diameter and $4.6{\pm}2.1\;mm$ in wall thickness. In the cases of remained cavity, the size of cavity was $31.9{\pm}12.3$ in long diameter, $21.0{\pm}9.8$ in short diameter and $5.04{\pm}2.0\;mm$ in wall thickness. In terms of negative conversion, it took $3.8{\pm}2.17$ months in the case of closed cavity but it was happened within 5 months for only 4 patients in the case of remained cavity. In the point of past medication history, there was none in closed cavities but there were none in 1 case, once in 3 cases, two times in 9 cases and more than three times in 13 cases among remained cavitary lesions. Conclusion : In the retreatment cases of pulmonary tuberculosis with cavitary lesions, they tend to respond poorly to current antituberculosis agents. So, if the lesions are localized, operative intervention may be a proper method as adjunctive treatment.

목적 : 폐결핵의 공동성병변은 때때로 치료 과정에서 어려움을 야기하는데 특히, 재치료 환자의 경우 기존의 항결핵제에 잘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저자는 공동성 병변을 가진 폐결핵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하게되었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10월사이에 본원에서 치료받은 공동성 병변을 가진 폐결핵환자 33례를 대상으로 나이 및 성별분포, 흉부 X선 사진상 폐결핵의 정도, 과거치료력, 균음 전화시기 그리고 공동성 병변의 경과와 이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분포는 20대와 30대가 전체의 69.7%를 차지하였고, 남녀 비는 10:1로 남자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공동성 병변의 위치는 우상폐야가 60.6%, 좌상폐야가 36.4%였으며 좌하폐야에는 1례 있었으나 우하폐야에는 없었다. NTA분류상 중등증이 36.4%, 중증이 63.6%였다. 공동성 병변이 폐쇄된 경우가 5례였으며 이들의 공동의 크기는 장축이 $35.8{\pm}17.1mm$, 단축이 $27.0{\pm}12.2mm$ 그리고 공동벽의 두께는 $4.6{\pm}2.1mm$였다. 공동성 병변이 잔존한 26례에서는 장축이 $31.9{\pm}12.3mm$, 단축이 $21.0{\pm}9.9mm$ 그리고 두께는 $5.04{\pm}2.0mm$로 공동이 폐쇄된 경우와 비교해 볼 때 유의한 차이는 없어보였다. 공동이 폐쇄된 경우 폐쇄시기는 치료시작후 $10.6{\pm}4.72$개월이었고 균음전화 시기는 치료시작후 $3.8{\pm}2.17$개월이었다. 공동이 잔존한 경우에서는 4례에서만 균음전화되었다. 과거치료력은 공동이 폐쇄된 5례 모두에서 없었으며 공동이 잔존한 경우에서는 치료력이 전혀 없었던 경우가 1례, 1회 치료력이 3례, 2회 치료력은 9례 그리고 3회 이상 치료한 환자가 13례였으며 균음전화된 4례는 모두 과거치료력이 1회 이내였으며 치료시작후 5개월 이내에 균음전화되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공동성 병변을 가진 폐결핵의 재치료환자의 경우 기존의 항결핵제에 대하여 반응을 잘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므로 병소가 국소적이라면 보조적 치료법으로 수술적 치료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