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Seawater and Mytilus coruscus in Ulsan Seaside

울산연안 해수 및 홍합 중의 중금속 함량

  • Kim, Sun- Bu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You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Bong-K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 김순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이종영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장봉기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To examine the contamination in Ulsan coastal area, som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ea water and Mytilus coruscus have been measured. Sea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on April 6 in 1995 and Mytilus coruscus samples were collected on April 2 in 1995. Total number of sea water samples was 26 and that of Mytilus coruscus was 54. The sites where the samples collected were same in sea water and Mytilus coruscus. The method of analysis was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sea water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sampling stations. The concentrations of cadmium, manganese, zinc in sea water collected in the coastal area near Mipo complex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astal areas, and the concentrations of lead in sea water collected in the coastal area near petrochemical complex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s. In general the concentrations of lead, zinc, copper in sea water were proportionate to those in Mytilus coruscus. The mean concentration rates of lead, cadmium, manganese in Mytilus coruscus inhabiting in Ulsan coastal area were similar, 1070, 1370 and 1300,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rate of mercury was 80, the lowest value of other heavy metals, and that of copper was 6940, the highest value. Consequently it seems to be more desirable to use Mytilus coruscus as a sample to examine the contamination of coastal area than sea water.

울산 연안의 공업단지를 비철금속 공업을 주로 하는 온산공단과 자동차 및 조선업을 주로 하는 미포공단, 석유화학 공업을 주로 하는 석유화학공단으로 나누어, 이러한 공업단지별로 해수 및 홍합중의 중금속 함량을 측정하고 이에 따른 홍합의 각 중금속 생물농축계수를 산정해 보았다. 시료는 1995년 4월 6일에 채취하였고, 분석방법은 원자흡광광도법에 따랐다. 해수중의 납 함량은 석유화학공단 해역 (1.8${\pm}$2.4ppb)이 가장 높았고, 홍합중의 납 함량도 석유화학공단 해역(0.800${\pm}$0.418ppm)이 가장 높았다. 해수중의 카드뮴 함량은 미포공단해역(1.3${\pm}$1.4ppb)이 가장 높았고, 홍합중의 카드뮴 함량은 석유화학공단 해역(0.282${\pm}$0.07ppm) 이 가장 높았다. 해수중의 수은은 전 해역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홍합중의 수은은 석유화학공단 해역(0.025${\pm}$0.0011ppm)이 가장 높았다. 해수중의 구리 함량은 미포공단 해역이 가장 높았고(0.5${\pm}$0.9ppb), 홍합도 미포공단 해역 (2.132${\pm}$0.526ppm)이 가장 높았다. 해수중의 망간 함량은 미포공단과 석유화학공단 해역이 비슷한 수준요도 나타났고(2.7${\pm}$2.1ppb, 2.4${\pm}$1.5ppb), 홍합에서는 석유화학공단 해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3.212${\pm}$2.445ppm). 아연함량은 해수와 홍합 모두 미포공단 해역에서 가장 높게(55.6${\pm}$9.4ppb, 19.560${\pm}$9.979ppm) 나타났다. 울산연안 해역에 서식하는 홍합의 중금속 농축계수는 납, 카드뮴, 망간의 경우 평균 1,070배, 1,370배, 1,300배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수은이 가장 낮은 80배, 구리는 6,940배로 가장 높은 농축률을 보였다. 울산연안 해수의 중금속 농도는 인근 공단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카드뮴, 구리, 망간, 아연은 미포공단이 가장 높았고, 납은 석유 화학공단해역이 가장 높았다. 납, 구리, 아연의 경우 해수중의 농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홍합중의 농도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카드뮴 경우 해수중의 농도는 미포공단에서 가장 높았으나 홍합중의 농도는 석유화학 공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연안 오염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수보다는 홍합과 간은 부착 패류를 지표종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