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신입생들의 구강보건 인식도와 구강위생상태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and their Knowledge of the Freshman of Colleges in Taegu City

  • 윤희숙 (대구보건전문대학 치위생과) ;
  • 이희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
  • 이성국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Yoon, Hee-Sook (Dept. of Dental Hygiene Taegu Health Junior College) ;
  • Lee, Hee-Kyoung (Dept. of Dentistry Yw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
  • Lee, Sung-Kook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6.06.30

초록

대학 신입생들의 구강위생상태와 구강보건 인식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시내 모대학 신입생 남자 216명, 여자 205명 총 421명을 대상으로 1993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구강위생상태를 평가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치주질환 인식도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대상자들의 구강위생 상태는 421명 중 34.7%가 양호, 59.1%가 보통, 6.2%가 불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성별 분포에서 여자의 구강위생상태는 41.9%가 양호, 4.4%가 불량하였고 남자의 경우는 27.8%가 양호, 7.8%가 불량하여 여자의 구강위생상태가 유의하게 양호하였다(p=0.006). 프라그 인식도에서 구강위 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 52.1%, 불량한 군에서 15.4%가 치과질환 원인 세균막이라고 응답했으며, 치주질환 예방 인식도에 있어서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는 91.8%가, 불량한 군에서는 15.4%가 치주질환은 예방가능한 것이라고 응답해 구강위생상태가 양보할 수록 치주질환 인식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스케일링 경험도는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는 30.1%, 불량한 에서는 7.7%가 스케일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할수록 스케일링 경험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23). 또한 스케일링이 치주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 68.5%, 불량한 군에서 23.1%가 스케일링은 치주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어서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할 수록 인식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잇솔질 교육을 받은 경험은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 86.2%이었고 불량한 군에서는 7.6%이었다. 또한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의 잇솔질 빈도는 3회 이상이 53.4%로 가장 많았고,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군에서의 매 식후 잇솔질 빈도는 41.8%로 잇솔질 빈도와 잇솔질 시기는 구강위생상태와 유의하게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p=0.001). 구강위생지수와 관련성이 있으리라고 예상되는 변수를 선정하여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잇솔질 빈도, 치주질환 예방에 관한 인식, 잇솔질 교육을 받은 경험, 잇솔질 시기가 구강위생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구강위생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올바른 잇솔질과 주기적인 치석제거의 중요성에 대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and their Knowledges about the oral health of the freshman of colleges in Taegu city. The evaluation for the oral health status through the oral examinations and their analysis of their knowledges on the periodontal disease were done on 216 males and 205 females from 1st to 30th April, 1993.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ral health status of 421 subject showed that 35.7% was good, 59.1% fair, and 6.2% poor, respectively. In case of the oral health status of females, 41.9% was good and 4.4% poor, and then in males 27.8% was good, 7.8% poor.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female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males(p=0.006). The 52.1% among the good oral health status group answered that the dental plaque is the bacterial membrane causing dental disease, and the 23.1% among the poor oral health status group answered same as the above. The 91.8% among the good oral health status group answered that the periodontal diseases can be prevented, and the same answer came out from 15.4% of the poor group.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oral health status group had the better knowledges about periodontal disease(p=0.001). For the question about their experiences in scaling the 30.1% of good oral health status group and the 23.1% of poor group answered that scaling is very helpful to periodontal health(p=0.001). About the experience of the education for tooth brushing, the 53.2% of good oral health status group and the 7.6% of poor group had the experiences to receive the education for tooth brushing(p=0.001). About the frequency and the time of tooth brushing, the 53.4% of good oral health status group brushed their teeth more then 3 times a day and 41.8% of good group brushed their teeth after every meal(p=0.001).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implified oral health index indicated that the variable having an effect on the oral health status was the tooth brushing frequency, knowledge of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experience in education of tooth brushing and time of tooth brushing(p=0.001).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