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Four Category Classification System of Hong Sok-chu

홍석주의 사부분류법에 관한 연구

  • 리상용 (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Hong-sii Tokso-rok (홍씨독서록 or Hong's Annotated Bibliography of Korean and Chinise Book) is the only work on the history of Korean bibliographies that has the introductory notes to each class, that is description of the origin of subject fields, transition, and characteristics at the beginning of each class. This paper is aimed to examine the outline of the introductory description of class, to analyze the Four Category Classification System(사부분류법) devised by Hong Sok-chu, and to explain how the classes of Four Category Classification are set and ordered. This paper shows several characteristics in the idea of Hong's classification system. There characteristics were discovered by analyzing the content of each introduction of classes. The characteristics ale as follows First, classes are organize and arranged from the substantial problem to nonsubstantial ones.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distance of the class from the substantial problem of Confucianism, the farther the order of the class will be found from the substantial problem. The order of classes is set by how the class is closed to the substantial problem in the same hierarchy. This principle is strictly applied to the Hong's classification system. Second, on the basis of democratic thought, he del·eloped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other words, when he set up the priority of classes, he put emphasis on the democratism as a guideline. The organization of classes belong to the catagories of history (Sa-bu, 사부) and philosophy(Cha-bu, 자부) showed the application of this principle. Conclusively, this paper found that Hong did not randomly arrange the class older, but he set the class order with objective reasons and logic when he set the class order of arrangement.

홍씨독서록은 한국서지사상 각 류목의 첫머리에 그 주제분야의 원류와 융체 그리고 그 성격 등을 적은 서문 즉 류서가 붙어 있는 것으로서 아직까지 발견된 서지 중에서 유일한 존재이다. 본 논문은 그 유자의 개요와 연천의 사부분류법 체계를 먼저 살펴보고 류서의 내용을 통해서 이들 사분법의 류목이 어떤 체계로 설정되었는가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그의 분류체계 구상의 특징 몇 가지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체계의 구성이 본질적인 문제에서부터 비본질적인 문제로 전개되어 나아갔다. 즉, 유학 본연의 문제에서 벗어난 주제일수록 그 유목의 순차가 뒤로 밀려 나갔다. 본래 분류항목의 유목순차는 같은 계층내에서 그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잡아주는 것인데, 연천의 분류체계에서도 이 원리가 엄격히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분류체계의 구성에 있어서 민본주의 사상이 저변에 깔려 있다. 연천은 분류의 우선순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백성존중의 사상을 담고 있다. 결론적으로, 연천의 홍씨독서록에서 채용한 분류체계는 유목의 배열순서를 아무렇게나 임의로 정한 것이 아니고, 객관성 있는 이유와 논리를 따져서 결정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