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sile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Cements

글라스 아이오노대 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

  • BYUN, Seung Mi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Oh-Won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변승민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 권오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치과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glass ionomer cements as orthodontic bracket adhesives. 120 premolar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ere prepared for bonding and standard edgewise brackets were bonded with Shofu Glaslonomer Cement (Shofu Co., U.S.A.), GC Fuji ItGC Co., Japan), KETAC-CEM(ESPE Co., West Germany) with different P/L ratio.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tested by Instron testing device after 24hours and 3months from bonding. After debracketing, bracket base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failure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ETAC CEM showed the highest bond strength other than measurement after 24 hours and at its original P/L ratio, and seemed to have clinically a proper bond strength. It seemed, however, that both Shofu Giaslonomer Cement and GC Fuji I had an inappropriate bond strength. 2. The incorporation of additional powder into the mixture improved the tensile bond strength. 3. Prolonged storage time improved the tensile bond strength. 4. Of the failure, failure occured at the tooth-adhesive interface(54.2%) was the most common type. The second type of failure(36.7%) was combination type, where part of the adhesive remained on the tooth and part on the bracket. And the last type of failure(9.1%) occured at the adhesive-bracket interface.

브라켓 접착제로서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복합레진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교정영역에서도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사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를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로 사용시 그 접착강도를 측정해 봄으로써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한 소구치에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인 Shofu Glaslonomer Cement(Shofu Co., U.S.A.)와 GC Fuji I(GC Co., Japan), KETAO CEM(ESPE Co., West Germany)을 분말-액 비율을 달리하여 소구치용 표준형 에지와이즈 브라켓을 접착한 후 15분간 실온에 방치 하였다가 증류수에 침 적 하여 $37^{\circ}C$ 항온조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후 24시간 및 3개월 후에 만능시험기로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말-액 비율을 1로하고 24시간 침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KETAC-CEM이 가장 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나타내어 (p<0.05) 브라켓 접착시 임상적 유용성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Shofu Glaslonomer Cement와 GC Fuji I은 접착강도가 매우 낮았다. 2. 분말-액 비율을 증가시킬때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침적시간이 경과할수록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브라켓의 탈락 양상은 법랑질과 접착제의 경계부에서 탈락하여 치질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거의 없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54.2%)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브라켓과 법랑질에 부분적으로 붙어서 탈락한 경우 (36.7%)였으며, 접착제와 브라켓 경계부에서 탈락한 것(9.1%)이 가장 적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