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 연구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특성-

Bioecological Studies in the Upwelling Area of Cheju Island - Standing Stock and Distribution of Pelagic Zooplankton-

  • GO You-Bo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OH Bong-Cheol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Young-Chan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eju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6.05.01

초록

제주도 서부 고산 연안 용승역에 출현하는 표층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용승역과 그 인접 외해역에서 1993년 4월 부터 1994년 3월까지 격월로 부유성 요각류, 화살벌레류, 익족류 및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Siphonophora와 Thaliacea)을 조사하였다. 요각류는 6월과 11월에 각각 $235ind./m^3,\;301ind./m^3$로 2차례에 걸쳐 피크를 보여 제주도 주변 연안해역과 일치하고, 출현 개체수에 있어서도 용승역이라고 해서 특별히 높지는 않았다.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은 용승역과 외해역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는 반면, 인접하는 중간역에서만 6월과 11월에 $75\~458\;ind./m^3$로 다량 출현하는 특성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평균 생물량은 $35.8mg/m^3$으로 11월에 가장 높고 1월에 가장 낮았다. 화살벌레류는 Sagitta의 사체가 6월과 11월의 용승역에서 $43\~74\%$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11월의 용승역에 출현한 Saitta는 $48\~71\%$가 요각류인 Oncaea venusta, O. mediterranea 및 Candacia bipinata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 있었다. 또한 각을 갖고 있어서 그 분포가 제한을 받는 유각 익족류는 외해역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은 반면, 용승역에서 용승현상이 강한 시기인 11월에 $27\~64\;ind./m^3$의 높은 밀도로 출현하므로써 용승에 의한 상승류를 이용, 적응하는 부유성 동물플랑크톤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Daytime surface zooplankton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April 1993 to March 1994 at six stations around upwelling and adjacent areas of Cosan, western part of Cheju Isl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occurrence, biomass and some other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in these areas. Copepods had two peaks in the abundance in June $(235\;ind./m^3)$ and November $(301\;ind./m^3)$, but were not especially abundant in upwelling area. While gelatinous organisms seldom occurred in the upwelling, and the outer area with high density of $75\;ind./m^3$ (in June) and $458\;ind./m^3$ (in November) at the intermediate area, seasonal values of biomass with mean of $35.8\;mg/m^3$ were the highest in November and the lowest in January. Abundance of chaetognaths (mainly Sagitta spp.) ranged $15\~37\;inds./m^3$ and carcasses of Sagitta occurred very highly in the upwelling area in June ($54\%$ of total Sagitta organisms) and November $(70.5\%)$. Especially $48\~77\%$ of Sagitta individuals in upwelling area in November was attached by Oncaea mediterranea, O. venusta and Candacia bipinata. Pteropods with shells were sampled only in the upwelling area during strong upwelling season (November, $27\~64\;ind./m^3$),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scending behavioral adaptation from the bottom water by upwell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