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decalcification time of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on the healing of 3-wall intrabony defects in dogs

탈회시간에 따른 탈회 냉동 건조골이식이 성견 3면 골내낭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

  • Kim, Chang-S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Cho, Kyoo-S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Kim, Chong-Kwa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Chai, Jung-Kiu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김창성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조규성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김종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채중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Published : 1996.12.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ations in decalcification time of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on the osteogenic potential of DFDB. Sixteen 3-wall intrabony defects with 4mm depth were surgically created in the mesial aspect of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of 4 dogs. Following the flap procedure, three test groups with 4 defects each received either freeze-dried bone graft (Group I),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graft decalcified for 12hours (Group II), or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graft decalcified for 24hours(Group III). The rest of the four defects received the flap procedure-only as the control group. The healing was histologically analyzed after 14 weeks on the length of connective tissue adhesion, new bone formation and new cementum form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ngth of connective tissue adhes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groups with $0.62{\pm}0.14mm$ for Control, $0.42{\pm}0.11mm$ for Group I, $0.63{\pm}0.43mm$ for Group II and $0.52{\pm}0.11mm$ for Group III. 2. The new bone form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groups with $3.17{\pm}0.24mm$ for Control. $3.15{\pm}0.56mm$ for Group I. $3.22{\pm}0.36mm$ for Group II, and $3.28{\pm}0.74mm$ for Group III. 3. The new cementum form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groups with $4.19{\pm}0.46mm$ for Control, $3.23{\pm}0.64mm$ for Group I, $4.13{\pm}1.82mm$ for Group II. and $3.13{\pm}0.62mm$ for Group III.

치주 질환에 의해 상실된 치주 조직의 재생과 기능 회복을 위해 골 이식재의 사용을 포함한 많은 치료법들이 이용되었다. 골 이식술을 위해 자가골 이식, 동종골 이식, 이종골 이식, 골 대체 물둥이 이용되어왔다. 이중 탈회 냉동 건조 동종골은 약 20년 전부터 치주 영역에서 사용되어 왔으나 탈회 냉동 건조 동종골의 골내 치주낭 이식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찬반 양론이 대립된다. 탈회 냉동 건조골은 제작 방법 중 특히, 탈회에 의해 탈회 냉동 건조골의 생물학적 성격이 결정되며 이에 따라 치주 조직 재생 능력에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탈회 시간에 따른 탈회 냉동 건조골 이식이 성견의 3면 골내 치주낭에서 치주 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성견의 전치부에 $4mm{\times}4mm{\times}4mm$크기의 3면 골 내낭을 형성한 후 치주 수술만 시행한 군을 대조군으로, 탈회를 시키지 않은 냉동 건조골을 이 식한 군을 실험 I 군으로, 12 시간 탈회시킨 탈회 냉동 건조골을 이식한 군을 실험 n군으로, 24시간 탈회시킨 탈회 냉동 건조골을 이식한 군을 실험 III군으로 설정하여 14주 후에 치유 결과를 조직학적으로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결합 조직 유착은 대조군에서 $0.62{\pm}0.14mm$, 실험 I 군에서 $0.42{\pm}0.11mm$, 실험 n군에서 $0.63{\pm}0.43mm$, 실험 III군에서 $0.52{\pm}0.11mm$로 계측되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2. 신생골 형성은 대조군에서 $3.17{\pm}0.24mm$, 실험 I군에서 $3.15{\pm}0.56mm$, 실험 n 군에서 $3.22{\pm}0.36mm$, 실험 III군에서 $3.28{\pm}0.74mm$ 로 계측되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3. 신생 백악질 형성은 대조군에서 $4.19{\pm}0.46mm$, 실험 I군에서 $3.23{\pm}0.64mm$, 실험 II군에서 $4.13{\pm}1.82mm$, 실험 III군에서 $3.13{\pm}0.62mm$로 계측되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