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 장용자의 수평 유발 사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Horizontal Induced Phoria in Spectacles Wearers

  • 성덕용 (대구산업전문대학 안경광학과) ;
  • 이원진 (대구산업전문대학 안경광학과) ;
  • 강성수 (대구산업전문대학 안경광학과)
  • Sung, Duk Yong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Taegu Polytechnic College) ;
  • Lee, Won Jin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Taegu Polytechnic College) ;
  • Kang, Sung Soo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Taegu Polytechnic College)
  • 발행 : 1996.12.31

초록

1996년 5월부터 7월까지 대전소재 E안과에 내원한 안경장용자 중에서 프리즘 효과를 유발시킬 목적으로 처방된 사위, 사시용 안경 장용자를 제외한 110명(남자 36명 여자 74명)을 대상으로 안경 렌즈의 광학적 중심점간 거리와 동공간 거리의 차이를 조사하여 장용 안경의 적우 판단 및 양안의 수평 유발 사위량을 조사하였다. 대상자 110명 중 광학 중심점과 동공간 거리가 일치하는 경우는 9명(8.18%)이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101명(91.82%) 이었다. 또한 광학 중심점간 거리가 동공간 거리보다 큰 경우는 60명(54.55%), 작은 경우는 41명(37.27%) 이였다. 남자의 평균 동공간 거리는 62.44mm였으며, 여자의 평균 동공간 거리는 60.66mm로 남자가 1.78mm 크게 나타났다. 수평 유발 사위는 광학 중심점과 동공간 거리가 일치하지 않는 101명 중에서 유발 내사위가 65명(64.56%), 외사위가 36명(35.65%)이었고, 최대 유발 내사위는 $3.69{\Delta}$, 최대 유발 외사위는 $3.68{\Delta}$였다.

Among the 110 glasses wearers, the hyperopic glasses wearers were 18(16.36%) persons and myopic glasses wearers were 92(83.64%) persons. The distance for optical centers was coincided to the pupillary distance in 9(8.18%) persons and discrepant in 101(91.82%) persons. Ophthalmic dispensing Pupillary Distance resulted from testing by the trouble error range(Germany RAL-915), unadopt spectacles had been wearers 52(51.49%) persons. The 65(64.56%) persons and 36(35.64%) persons showed the induced esophoria and the induced exophria, respectively. The maximal induced esophoria was 3.69 prism diopters and maximal induced exophoria was 3.68 prism diopter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