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파수 분석에 의한 선삭면의 표면 거칠기 인자 해석

Components Analysis of Surface Roughness in Turning Process by Frequency Analysis

  • 발행 : 1996.12.14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선반 작업에 있어서 공구 형상과 작업 조건 변화에 대한 표면 거칠기 곡선의 형성 인자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SNMG120404, SNMG120408과 DNMG150404, DNMG150408의 공구가 사용되었고, 절삭 속도와 이송의 작업 조건이 변화되었다. 즉, 절삭 속도는 150, 200, 250 m/min, 이송은 0.05, 0.1, 0.3mm/rev으로 변화시켰다. 주파수 분석 결과에 의하면, 표면 거칠기는 이송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또한 바이트의 떨림은 표면 거칠기뿐만 아니라 파상도에도 영향을 마치고 있었다. 아울러 이송이 감소할수록 표면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함을 알았다. 끝으로, 정상적인 경우의 주축 떨림은 표면 거칠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공구 형상은 표면 거칠기 곡선 형성 인자의 생성 변수가 되지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omponents of surface roughness in turning with respect to the tool configuration and the changes of working conditions. Tool configurations of SNMG120404, SNMG120408 and DNMG150404, DNMG150408 are used, and working conditions such as cutting speed 3nd feed are varied. That is, the changes of cutting speed and feed were 150, 200, 250 m/min and 0.05, 0.1, 0.3 mm/rev,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btained by the frequency analysis with spectrum, it is noted that the surface roughness was influenced most significantly by the feed.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vibration of bite had an effect on both the surface roughness and the surface waviness. Moreover, the influence of surface roughness increases as the feed decreases. Lastly, the vibration of the spindle was found to have little influence on the surface roughness in normal cases and the tool configuration was not the components of the surface roughn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