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Forest Fire on the Water Storage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

산불이 임지(林地)의 수저류(水貯留)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 Received : 1995.08.31
  • Published : 1996.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forest fire effect on water storage characteristics in the forests. Water storage capacity of the burned area was analyzed by several major factors, such as soil pore, maximum water content, effective water storage, and percolation rat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major factors are as follows; The deeper soil depth, the less total pore, coarse pore, effective water storage, and percolation rate. However, fine pore increased slightly in both burned area and control plot. As compared with control plot, burned area showed lower percolation rate, coarse pore, and effective water storage, but higher values of fine pore. Directly after forest fire, the soil pore is little affected. But as the time passes, top soil structure changes and soil pore also is affected even in a deep soil. Estimated effective water storage was lower at top soil of Namcheon and at deep soil of Namha in all the burned areas, but slowly decreased in deep soil compared to control plot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forest water storage capacit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forest fire.

본 연구는 산불 발생이 임지의 수저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했다. 비산불 지역과 산화적지를 대상으로 산림토양의 수저류능을 토양공극, 최대수분량, 이용가능수량, 그리고 투수율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인자들의 측정에 의해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화적지와 대조구에서 토성이 깊어질수록 전공극(全孔隙), 조공극(組孔隙), 이용가능 수량, 투수율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세공극(細孔隙)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조구에 비해 산화적지에서는 투수율, 조공극량 및 이용가능수량이 낮게 나타나는 반면, 세공극량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산불이 발생한 직후에는 산림토양의 공극량 분포에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화적지의 표토 공극분포에 변화를 일으키면서 서서히 토심 20-40cm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심변화에 따른 이용가능수량의 변화는 대조구에 비해 산화적지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결과로 산림의 수저류능은 산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