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의 표면조도에 관한 연구 : 추정법 및 선박성능에 미치는 영향

A Research on Ship Hull Roughness : Estimation Method and Effect on Ship Performance

  • 권영중 (울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 주동국 (울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 투고 : 1996.04.10
  • 발행 : 1996.05.20

초록

선박의 경제적인 측면에서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Service Power Margin을 신빙성있게 산출하여야 한다는 것은 주지(周知)의 사실이라 하겠다. 하지만 기존의 산정법이 문제가 될 정도로 너무 부정확하므로 이의 개선이 절실히 요청되며, 이를 위해서는 특히 선체의 표면조도(表面組度)영향 고려법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은 이미 10여년 전부터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강조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제 15 및 제 16 회 국제수조회의(ITTC)의 성능분과 위원회는 보고서의 결론에서 이점을 연속적으로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이 분야에서는 이론적 연구의 어려움 때문에 실용성있는 연구결과를 얻기 위하여는 실선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연구를 위한 실선자료 수집 기간이 매우 길 수 밖에 없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표면조도(表面組度)영향 고려법에 관한 이제까지의 연구는 매우 부진한 형편이라 하겠다. 이를테면, 1가지 종류의 선박에서 실선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이상적인 기간은 선박의 년령과 같은 17년~25년이 될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법을 찾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선박 자료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5년 동안 수집된 자료를 회기분석법을 이용해서 분석함으로서 선령(船齡)에 따른 표면조도를 예측할 수 있는 관계식을 찾아 보았다. 아울러 V.L.C.C.를 예를 들어서 해상에서의 바람 및 파랑등의 기상 영향과 표면조도의 영향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improved methods of the estimation of the service power margin is necessary to design a optimum ship and to operate economically a ship. Unfortunately, most conventional methods of the predicting of the service power margin are not so accurate that attention should be payed to improve this. From this overview, it is importance with. the effects of waves, as recommended by the 15th and 16th International Towing Tank Conference in 1978 and l981. However the progress of research in this field is very slow mainly since it is taken so long time to take data about hull roughness according to ship ages. For instance, it would be taken 17 or 25 years to measure ideally the data for a ship. Moreover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take data for many types of ships to lead a general solution. A relationship between roughness and ship age are studied in this paper considering full scale data. A comparison is also made between the effects of hull roughness and of weather at sea for the ship.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과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