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sefulness of Bone Scan in Electric Burns

전기화상에서 골스캔의 유용성

  • 김태형 (한국전력공사 부속 한일병원 내과) ;
  • 소용선 (한국전력공사 부속 한일병원 핵의학과) ;
  • 권기현 (한국전력공사 부속 한일병원 내과) ;
  • 한상웅 (한국전력공사 부속 한일병원 내과) ;
  • 김석환 (한국전력공사 부속 한일병원 내과) ;
  • 김종순 (한국전력공사 부속 한일병원 내과) ;
  • 한승수 (한국전력공사 부속 한일병원 내과)
  • Published : 1996.03.25

Abstract

Bone scan is known to be an effective tool for observing the state of soft tissues and bones of electric burn patients. It is also used for observing the progress of patients after debridement or skin graft as well as deforming to amputate specific body parts. To evaluate bone scan's role in electric burn, we analyzed bone scan 37 patients with electric burn. Among the 37 patients, 8 of 37 were injured in low voltage and 29 of them in high voltage. 27 patients received the electrical input through the hand, 6 through the scalp, 2 through the shoulder, 1 through the left chest wall and 1 through the left inguinal area. Among 29 patients received high voltage, 22 patients had the electrical output through the foot, 3 through the hand, 2 through the shoulder, 1 through the buttock and 1 through the left chest wall. Bone scans revealed cellulitis in 37 patients with 47 sites, osteomyelitis in 15 patients with 15 sites & bone defects in 4 patients with 4 sites. In 4 patients with skin graft or skin flap, follow up bone scan showed improvements of bony uptake in preoperatively bony defect area and all of them were healed without complication. There were 2 cases in which uptake increased in the myocardium, 1 in the liver and 6 in the kidney, however, serum calcium level, EKG, cardiac enzyme, liver and renal function tests were normal. In conclusion, bone scans are helpful in the assessment of injury sites after electrical insult and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cellulitis and osteomyelitis. It is also useful tool of assessment after skin graft or skin flap, however, it should be further evaluated about internal organ damage.

전기화상후 조직이나 뼈의 상태를 관찰하고 창상변연절제술, 피부판 이식후 경과 관찰 및 절단술여부와 부위를 정하는 데 골스캔이 지표가 되고 골결손이 있는 환자에서 피부판 이식술 시행후 경과가 호전되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골스캔검사가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1년부터 1995년 11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전기화상 환자중 골스캔 및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37명을 대상으로 골스캔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골스캔 시행시기는 대상환자 37명 모두에서 1주일이 내에 골스캔을 시행하였다. 저압전류에 수상한 환자는 8명, 고압전류에 수상한 환자는 29명이었다. 유입부별 분포를 보면 수부가 27례, 두부가 6예, 견관절부위가 2예, 좌흉벽부위가 1예, 수혜부위가 1예로 나타났다. 사출부별 분포는 저압전류 8명에서는 사출부위를 찾을 수 없었고 고압전류 29명중 족부가 22예, 수부가 3예, 견관절부위가 2예, 좌측 흉부가 1예, 둔부부위가 1예 순으로 나타났다. 유입부의 골스캔 소견은 저압전류에 손상받은 환자8명 모두 봉와직염 소견을 보였고 고압전류에 손상받은 환자 29명줌 15명은 골수염, 10명은 봉와직염, 4명은 골결손 소견으로 나타났다. 사출부의 골스캔 소견은 저압전류 손상 8명을 제외한 고압전류 손상 환자29명 모두 봉와직염 소견을 보였다. 피부이식이나 피부판 이식술 시행후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4명의 환자모두 피부이식이나 피부판 이식술 시행후, 골결손 부위가 좋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심근에 섭취가 증가된 경우가 2예, 간에 섭취가 증가된 경우가 1예, 신장에 섭취가 증가된 경우가 6예였는데, 혈청 칼슘농도, 심전도, 심근 효소, 간기능 검사 및 신기능 검사상에서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골스캔은 전기화상후 손상부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고 봉와직염과 골수염의 감별진단, 피부이식이나 피부판 이식술후 평가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인체 내부 장기의 손상평가는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