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ignificance of Reverse Redistribution on Tc-99m MIBI and T1-201 Myocardial Perfusion SPECT Images

Tc-99m MIBI와 T1-201 심근 SPECT에서 역재분포의 임상적 의의

  • Song, Ho-Cheo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Bom, Hee-Seung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Kim, Ji-Yeul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Jeong, Myung-Ho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Gill, Kwang-Chae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Park, Joo-Hyung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Cho, Jeong-Gwa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Park, Jong-Choo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 Kang, Jung-Chaee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 Published : 1996.03.25

Abstract

Reverse redistribution(RRD) refers to a perfusion defect that develops or becomes more evident on rest imaging compared with the stress imaging. This phenomenon was not uncommonly noted on myocardial perfusion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However,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of RRD were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RRD on either dipyridamole T1-201 or Tc-99m MIBI myocardial perfusion SPECT. RRD was defined as ${\geq}10%$ decrease in relative T1-201 and Tc-99m MIBI uptakes on rest images compared to the stress images or as an appearance of new perfusion defects on rest images. It was observed in both T1-201 (44/463, 9.5%) and Tc-99m MIBI (124/999, 12.4%) myocardial SPECTs similarly, with an overall incidence of 11.5%(168/1462). Many apparent)y unrelated disease groups showed the finding: post-revascularization(53.9%), coronary artery disease(24.6%), myocardial infarction(12.3%), and those with normal coro-nary arteries (9.2%).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65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rteriography in 168 patients who had RRD on myocardial perfusion SPECT were reviewed. Tc-99m MIBI was used in 44 patients, and T1-201 was used in 21 patients. Of the 81 myocardial segments analyzed which showed RRD, 32 segments(39.5%) were in septum, 24(29.5%) in inferior wallL, 12(14.8%) in anterior wall, 7(8.7%) in apex and 6(7.4%) in lateral wall. There was no clear association between RRD and coronary arterial stenosis or Presence of collateral circulations. Ventriculographical wall motion was evaluated in 27 regions with RRD; it was normal in 12 regions, hypokinetic in 12 regions and dyskinetic in 3 regions. In 14 of 21 patients who showed RRD on T1-201 myocardial SPECT, T1-201 reinjection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3-4 hour redistribution studies. Ten of 14 (71.4%) showed enhanced T1-201 activity(${\geq}10%$ increased) after reinjection. We conclude that RRD is not related to mode of stress or radiopharmaceuticals. RRD might represent many inhomogeneous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심근관류 스캔에서 부하영상에 비해 휴식영상에서 오히려 심근관류가 감소되어 보이는 현상을 역재분포라고 하며, 심근관류 스캔시 드물지 않게 관찰되나 아직 이 현상의 기전이나 의미는 확실히 밝혀진 바 없다. 이에 저자들은 디피리다몰부하 T1-201 및 Tc-99m MIBI 심근관류 SPECT에서 역재분포현상의 존재 유무를 알아보고, 또 이 현상이 어떤 경우에 나오는지 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2년 9월부터 1994년 1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에서 시행하였던 심근관류 SPECT를 시행한 1462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환자 1462명중 168명(11.5%)에서 역재분포를 보였으며, T1-201을 사용한 환자는 463명 중 44명(9.5%), Tc-99m MIBI를 사용한 환자는 999명 중124명(12.4%)에서 역재분포를 보였다. T1-201 및 Tc-99m MIBI를 사용한 양군간에 역재분포 빈도수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2) 심근관류 SPECT상 역재분포를 보였던 168명 중 관동맥조영술로 확진된 65명(T1-201 21예, Tc-99m MIBI 44예)을 질환별 분류를 하였다. T1-201과 Tc-99m MIBI를 사용한 모든 환자에서 재혈관화후 (53.9%), 관동맥질환(24.6%, 재혈관화후 및 심근경색 제외), 심근경색(12.3%) 그리고 정상 관동맥(9.2%)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T1-201 및 Tc-99m MIBI 양군간에 질병양상에 따른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역재분포를 보인 부위를 좌심실 전벽, 중격, 하벽, 측벽 및 심첨부로 나누어 분석해 보면, 중격 32(39.5%), 하벽 24(29.6%), 전벽 12(14.8%), 심첨부 7(8.7%), 그리고 측벽 6(7.4%)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관동맥협착의 정도와 역재분포 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역재분포를 보인 부위와 관련된 관동맥분지 30개를 협착정도별로 분류하였다. 협착의 정도와 역재분포의 빈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T1-201과 Tc-99m MIBI군 사이에도 분포의 차이가 없었다. 역재분포를 보인 부위와 관련된 관동맥 분지별로 보면 좌전하행동맥이 18예로 가장 많았고, 다음 이 우관동맥(10예), 좌회선동맥(4예)순이었다. 5) 역재분포를 보인 환자중 좌심실의 벽운동성을 관찰할 수 있었던 27명의 환자 중 12명은 정상벽운동, 12명은 저운동, 그리고 3명에서 이운동 소견을 보였다. 6) 역재분포를 보인 부위에 측부혈행 유무를 관찰 할 수 있었던 30예 중 측부혈행이 있었던 예는 4예에 불과하였다. 7) T1-201 심근관류 SPECT시 휴식기 T1-201 재주사를 시행한 14예 중 재주사에 의해 역재분포 부위에 섭취 증가를 보인 예는 10예였다. 결론적으로, 역재분포는 여러가지 병태생리적인 기전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소견으로 보이며, 그 임상적 의의는 심근관류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병력에 따라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