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국립공원 오대산 지역의 야생조류상 및 관리 방안

Management Guideline and Avifauca of Odaesan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발행 : 1996.08.01

초록

오대산 국립공원내 야생조류상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2개 조사구역에 대해 1995년 6월 중순부터 1996년 12월 초순까지 선조사법에 의하여 4회 조사하였다. 총 9목 22과 52종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은 텃새 25종과 여름철새 16종, 나그네새 8종 및 겨울철새 3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연기념물 제 242호인 까막딱다구리, 제323호인 황조롱이와 붉은 배새매, 제 324호인 소쩍새와 올빼미 등 5종이 관찰되었다. 종 수 및 개체수는 제 2조사구역에서 많았고, 종 구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번식조류군집의 영소길드(nesting guild)는 두 조사구역 모두 둥지자원을 관목(bush), 수동(hole), 수관층(canopy) 순으로 높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목 영소길드(bush-nesting guild)의 종 수가 높게 나타난 것은 제 1 조사구역의 임연부에 형성된 관목층과 제 2조사구역의 정상부근 능선의 관목층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동 영소길드(bush-nesting guild) 중 오색딱다구리, 까막딱다구리, 청딱다구리 등 3종류는 제 2조사구역에서만 관찰되어 제 2조사구역이 제 1조사구역보다 등산로에 의한 단편화(fragmentation) 정도가 적을 뿐만 아니라 조사면적 내에 대경급 임목이 산재하여 있는 것과 관련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월정사에서 상원사에 이르는 계류 지역은 노랑할미새와 검은댕기해오라기, 물까마귀 등과 같은 조류의 번식을 위해 등산로 주변의 관목층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 적설량이 많은 겨울철에 이 지역의 야생조류에게 인공먹이를 공급하여 다음해의 넉넉한 번식을 꾀하여야 할 것이며, 까막딱다구리 및 올빼미 등 대면적의 행동권을 요구하는 종을 위해서는 서식지의 단편화(fragmentation)를 막아야 할 것이다. 한편, 상원사의 집비둘기 개체군은 둥지자원을 철저히 제거하여 더 이상 귀중한 문화재가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vifauna and to suggest the management discipline for the protection of bird community in Odaesan National Park. Field survey was carried over 2 main trails by line transect method from mid June to early December in 1996. The 1st section included the area from Woljongas to Sangwonsa 7km distance. The 2nd section survey started from Sangwonsa via Bukdaesa and the summit of Odaesan to Sangwonsa 9.8 km distance.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observed birds belonged to 9 orders 22families 52species, they also had Black Woodpecker(Dryocopus martius)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No. 242, Chinese Sparrow Hawk(Accipiter soloensis) and Kestrel(Falco tinnunculus) as natural munumet No. 323, Scops Owl(Out scops)and Korean Wood Owl(Strix aluco) as No. 324. These birds also were classified into 25 species for residents, 16 species for summer visitors, 8 species for passage migrants, 3 species for winter visitors, respectionely. The 2nd section showed a high species richness and individuals in every season, however, had a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with 1st section. Nesting guild of breeding bird community used highly in order of bush, hole, and canopy as a nest resources. It is suggested that high bush-nesting guild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bush layer located in the ecotone of 1st section and that located in the high elevated zone in 2nd section. Hole-nesting guild such as Black Woodpecker(Dryocopus martius), Gray-headed Woodpecker(Picus canus) and Great Spotted Woodpecker(Dendrocopos major) were surveyed only in 2nd section, so it could be attribute to the small fragmentation and the growing of high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tree in 2nd section. It is urgent that the management of camping ground and people for the conservation of brook in 1nd section, trail protection for the prevention from trail enlargement in 2nd section for the bird protection. Artificial food in snowy winter will provide the good breeding condition with the residents and migrants. And, the endeavor to lessen the habitat fragmentation will be beneficial to the birds who have a large home range such as Black Woodpecker(Dryocopus martius) and Korean Wood Owl(Strix aluco). For the control of Domestic Dove(Columba livia) populations, it could be recommended that the elimination of their nesting resources by ne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