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t Community Structure by the Slope and Altitude of Tongdaesan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지역의 사면. 해발고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 ;
  • 조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황서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임경빈 (임목육종연구소)
  • Published : 1996.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plant community structure by the altityed and slope in Tongdaesan area, Odaesan National Park. Sixty-three plots(each plots size was 100m$^{2}$) were set up and PWINSPAN and DCA method were used for vegetational structure analysis. Division of community was cleared altitude than part of slope With increasing elevation the importance values of Quercus mongolica, Tilia amurensis increased, while those of Fraxinus mandshurica, Betula schmidtii, Cornus controversa decreased.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by the TWINSPAN and DCA method. The divided groups are T. amurensis community(I), Q. mongolica community(II) of upper part of slope of east and west, Q. mongolica-T. amurensis community(III) of middle part of slope, Q. mongolica-F. mandshurica community(IV), Pinus densiflora-B. schmidtii-Carpinus laxiflora community(V) of low elevation of east, F. mandshurica-C. controversa community(VI)of low elevation of west. Also, vegetational change were showed slope of east and west in Tongdaesan except top area for the last twenty yeras.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지역의 해발고와 사면에 따른 식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63개의 조사구(조사구면적 100m$^{2}$)를 설치하고 TWINSPAN과 DCA기법을 이용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구들은 사면보다는 해발고에 의한 군집분리가 명확하였는데 해발고가 높을수록 신갈나무, 피나무가 우점종을 이루었고 해발고가 낮을수록 들메나무, 박달나무, 서어나무, 층층나무의 우점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리된 군집은 6개군집으로써 동, 서사면 고지대의 피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중지대의 신갈나무-피나무군집, 동사면 저지대의 신갈나무0들메나무군집, 소나무-서어나무-박달나무군집과 서사면 저지대의 들메나무-층층나무군집이었다. 또한 지난 20여년간 동대산지역은 정상부분을 제외하고 동, 서사면에서 식생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