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저장.보존을 위한 도구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gu Environment for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Foods

  • 김명석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 학과) ;
  • 고미향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 학과)
  • 발행 : 1996.02.01

초록

지난 30년 동안 빠른 경제발전에 따른 가정 생활의 서구화의 경향으로 한국의 기업들은 제품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현재 소비자(생활자)들이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구환경이라는 접근방법을 통하여 이 문제에 대한 디자인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도구환경이란 제품환경의 확대된 개념으로 깁슨(Gibson, J. J.)의 개념을 인용한다면 인간 행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든 수단으로서 물질적인 것과 공간적인 것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접근 방법의 논리와 구조에 관하여는 디자인 방법론과 역사학, 사회심리학, 인간행동과학 등의 제 분야에 기초를 두고 논하였다. 특히 우리 나라의 식품의 보존저장을 위한 도구환경에 대해 선사시대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화를 고찰한 후 미래의 도구환경을 예측하였다.

Many companies in Korea have been suffered from grasping the very essence in designing products what the consumer want to use since rapid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westem style have been underwent in all fields during last three decades. The paper introduces the integrate approach, Dogu environment, to find the design solution for this problem. Dogu environment can be envisaged a extension of product environment, which adopts the Gibsonian concepts to include all spaces to achieve the ends in human behavior in addition to the material with diverse concrete shapes and colors. Logic and structure of the approach will be discussed based on design methodology and other related fields, history, social psychology and human behavior science.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ate approach to adaptive design for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food has been evaluated and the future system has been deduced using the integrate approach, so called Dogu environ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