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valution after Urban Park Construction b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Namsangol Park , Junggu , Seoul -

GIS를 활용한 도시공원 시공후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 중구 남산골공원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1996.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some ideas to the improving direction and evaluation in order to solve physical' ecological problems appeared after urban park construction. This study selected Namsangol park as a site, because this park was constructed to the goal in order to rehabilitate the original landform as a part of "Namsan original landscape rehabilitation work". So this study was executed to investigate past and present landform change, soil condition, planting, water/climate etc., and then these were analyzed by GIS.- soil :pH, Ec, organic matter, the ability of moisture content, bulk density, porosity, etc.- planting:planting density, plant species- water/climate: the amount of rainfall, drainage and drainage-basin. And then this study overlayed soil+cut/fill, soil+pine tree, cut/fill + planting density, and cut/fill + plant species.t species.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활용해 공원시공후 발생될 물리적.생태적 문제를 해결키 위해 현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산골 제모습 찾기의 일환으로 남산의 원지형 복원을 시도한 남산골 공원을 대상으로 시공전후의 지형변경, 토양여건, 색생, 수문/기상 등을 조사 혹은 측정해 나타난 문제들을 GIS를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조사항목은 지형(질성토지역, 경사도) 토양(pH, EC, 유기물, 보수력, 가비중, 공극율), 식생(식재상태, 식재밀도, 수종), 수문/기상(강우량, 배수 및 유역)등이며, 토양관련 중첩(토양+절성토, 토양+소나무)지형관련 중첩(절성토+식재밀도, 절성토+수종)등을 종합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현재 남산골 공원은 토양상태가 불량하여 공원개방 초기에 집중적이며 계획적인 관리가 되지 않으면 이식된 수목의 활착이 어려운 상태이다. 식생은 생태적 조성을 추구하면서도 상징적인 소나무를 집중식재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 문제의 해결방안으로는 능선부 관수시설의 도입, 유기물 시비와 같은 토양개선, 부분이지만 식생수종의 개량 등이 지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