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호의 용도별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화

Effect of Growth and Yield on Planting Density by Using Types in Anthriscus sylvestylis

  • 발행 : 1996.08.01

초록

본(本) 시험(試驗)은 산채(山菜) 약초(藥草) 겸용작물(兼用作物)로서 개발가치(開發價値)가 높른 연천도(輦賤島) 전호(前胡)에 대(對)해 내륙적응성(內陸適應性)을 높여 신작물화(新作物化)의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한 일환(一環)으로 용도별(用途別) 적정재식거리(適正栽植距離) 시험(試驗)을 하여 얻어질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재식거리(載植距離)에 대(對)한 초장(草長)은 채소형(菜蔬型)의 경우(境遇) 주간(株間)이 소식(疎植)일수록 감소(減少)하였고 약재형(藥材型)에서도 업소형(業蔬型)처림 주문(株問)이 소식(疎植)일수록 초장(草長)이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경수(莖數) 용도별(用途別) 재식거리제(栽植距離制)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2. 생엽(生葉) 수량(收量)은 연차별(年次別) 수량(收量)의 차이(差異)는 다소 있었지만 채소형(菜蔬型)에서는 $30{\times}20cm$, 약재형(藥材型)에서는 $60\times30cm$, 채소(菜蔬) 및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은 $45\times20cm$에서 가장 높았다. 3. 근장(根長)은 채소형(菜蔬型)의 경우(境遇) 재종거리(栽種距離)에 따른 생육(生育)의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약재형(藥材型)과 채소(菜蔬) 및 약재복합형(藥材複合型)은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에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 되었다. 4. 지하부(池下部)의 건근(乾根) 수량(收量)을 보면 채소형(菜蔬型)은 밀식(密植)에 비(比)해 소식(疎植)인 $30\times20cm$, 약(藥) 재형(材型)은 밀식(密植)인 $60\times20cm$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보여 상반(相反)되는 결과(結果)를 보였고, 채소(菜蔬) 및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은 밀식(密植)인 $45\times20cm$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보여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에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는 채소형(菜蔬型) $30\times20cm$, 약재형(藥材型) $60\times30cm$, 채소(菜蔬)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 $45\times20cm$에서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면서 생엽(生葉) 및 건근(乾根)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classified by the different using types in Anthriscus sylvestylis Hoffm. In the different using types, plant height of vegetable type in $30\times20cm$ was 35.2cm, but plant heights of other types were much lower than that of vegetable type. Fresh leaf yield was highest in the vegetable type at the $30\times20cm$ with 3,300kg, in the medicinal type at the $60\times30cm$ with 2,800kg, and in the combination type at the $40\times20cm$, In comparison of underground parts of dry root weight, the highest yield was 3,320kg at $30\times20cm$ of the vegetable type, 2,170kg at $60\times20cm$ of medicinal type, and 2,210kg per ha. at $45\times20cm$ of combination type, respectively. It was showed that the optimum planting densities were $30\times20cm$ in vegetable type, $60\times30cm$ in medicinal type, and $45\times20cm$ in combination type.

키워드

참고문헌

  1. 忠北農試年報 食用 山野採 및 自生 觀賞樹 蒐集 趙鎭泰;安榮峻
  2. 韓園誌 v.26 no.3 개미취의 種子發芽, 栽培方法 및 無機成分含量에 關한 硏究 조진태;연규인;손상중;권규칠
  3. 忠北農試年報 산나물 蒐集 및 品種保存 조진태;연규인;박종천
  4. 忠北農試年報 食用 山野採 栽培法 試驗 조진태;연규인;박종천
  5. 高嶺地 試驗場 農試年報 主要 山菜類의 周 年生産 作型 開發 최관순;서종택;류승열;지광현;김수복;김진호
  6. 江原農振 農試年報 山菜類 栽培法 確立에 關한 硏究 김시창;김인종;김정욱;홍정기;김명수
  7. 생약학회지 v.23 no.4 전호의 성분연구 고숙희;도상학;권용수;김창민
  8. 農業科學論文集 v.37 no.1 鬱陵島 취나물의 內陸適應栽培 技術開發에 關한 硏究 權泰龍;金相國;閔基君;趙知衡;李承弼;崔富述
  9. 農業論文集 v.35 no.2 有望 山菜流 種子의 休眠 및 發芽促進方法에 關한 硏究 權泰龍;權寧石;趙知衡;李承弼;崔富述
  10. 한국 동식물도감 식물편(유용식물) v.15 이덕봉
  11. 본초학 이상인
  12. 大韓植物圖鑑 李昌福
  13. 韓園誌 v.22 no.3 遮光程度가 몇가지 好冷性 菜蔬의 生育에 미치는 影響 문원;표현구
  14. 農事試驗硏究調査基準(改訂 第 1版) 農村振興廳
  15. 韓國의 自生植物圖鑑(草本類) 農村振興廳
  16. 高嶺地 試驗場 農試年報 主要 山菜類의 採種技術 및 發芽促進方法 究明 서종택;유승열;최관순;지광현;김수복;김진호
  17. 試驗硏究報告書(圖鑑) 主要 民俗採蔬의 生理·生態 特性 究明과 栽培法 確立 硏究 성기철;조연래;류인철
  18. 藥學雜誌 v.98 no.11 シャク根の成分(第 1報)ェステル力ボボン酸およぴ新フエニルブ口バノイドエステル Anthriscusin の 構造 小澤貢;森田伸子;泰淸之
  19. Chem. Pharm. Bull. v.26 no.4 Structure of anthiscusin, new phenylpropanoid ester from root of Anthriscus sylvestylis Hoffm T.Noguchi;M.Kawanami
  20. 藥學雜誌 v.98 no.12 シャクAnthriscus sylvestylis Hoffm. の成分硏究について(第1報)根成分 栗原藤三郞;菊地正雄;鈴木綢德;久道周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