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유착모형의 경험적 적합성에 관한 고찰 - 교사들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 한 . 미간 비교연구 -

An Empirical Testing of Employee Attchment Model: A Comprison of South Korean and U.S. Teachers

  • 조동기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
  • 발행 : 1996.06.01

초록

본 논문은 피고용자들의 조직에 대한 헌신도와 근속의도에 초점을 두는 피고용자 조직유착(employee organizational attachment)의 인과모형을 비교, 검토한다. 이 논문은 교사들의 조직유착 행위에 대한 두 개의 연구, 즉 미국 시카고 지역 공립학교 교사들에 대한 연구와 한국의 서울시 중등학교 교사들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논문의 이론적틀은 Price-Mueller의 조직유착모형이다. 이 모형은 크게 다섯 개 군의 변수들을 포함하고 있다: 1) 일(노동)에 대한 반응변수 - 업무만족도, 헌신도, 근속의도, 2) 심리학적 긴장변수 - 역할애매성, 역할갈등, 업무과부하, 학생들의 자질, 3) 사회적 구조변수 - 자율성, 단순성, 분배정의 승진의 정당성, 4) 경제적 구조변수 - 보수, 직업안정성, 승진기회, 외부 노동시장 기회, 그리고 5) 개인적 성향변수 - 직업헌신도, 노동가치, 기대만족, 긍정적 인성. 자료는 질문지 조사방법으로 수집되었으며, 서울시내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표본 조사 결과 649개의 유효사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직유착의 인과적 모형을 검증하기위해 LISREL을 이용한 공분산구조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근속의도에 대한 외생변수들의 영향을 매개하는 데, 내생변수인 업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의 역할이 미국에 비해 크게 작을 뿐만 아니라, 이 모형은 근속의도 변수의 변량을 크게 설명하지도 못한다. 한국과 미국의 이러한 차이는 한국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고용관계와 노동시장의 구조적 특성들, 즉 강제적 이동과 외부노동시장의 폐쇄성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 발달한 이러한 조직유착모형은 적용범위(scope condition)를 명시함으로써 예외적인 경험적 자료에 따른 잘못된 무효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연구는 한국 교사들의 경우와 같은 구조적 제약에서 피고용자들의 조직유착을 가져오는 요인들에 대한 개념적 및 경험적 탐구에 더 많은 관심을 두어야 한다.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s a causal model of employee attatchment which focuses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stay with an organiz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wo separate studies of employee attachment among teachers : the U.S. case of the Chicago Public Schools (CPS) and the South Korean case of the Seoul Educational District (S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licate in Korea the CPS study. A revised model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chers is also developed and estimated. The Price Mueller model of employee attachment provides the basic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It includes five general classes of variables : 1) employee responses to work variables : jo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intent to stay; 2) psychological stress variables: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work overload, and quality of students; 3)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utonomy, routinization, distributive justice, and legitimacy; 4) economic structural variables: pay, job security, promotional opportunities, and job opportunities; and 5) work orientation variables : career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work motivation, affectivity, work values, and met expectation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a sample of 649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South Korea, wa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LISREL) was used to estimate the causal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ndogenous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play a considerably less important role than in the U.S. model in mediating the effects of the exogenous variables on intent to stay, and the model fails to explain the majority of the variance in intent to stay. In addition, the new variables added to the revised Korean model do not bave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 to sta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relationship and labor markets associated with Korean teachers forced mobility and closed external markets - are largely accountable for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the U.S. cases. The study suggests that conceptual and empirical work on what produces employee attachment under these structural constraints needs to receive more attention in future stud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