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참깨 연구의 역사적 고찰

Historical Study of Sesame Research in Korea

  • 류시승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발행 : 1996.12.01

초록

한국은 참깨의 주요 소비 구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공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참깨에 대한 연구는 1973년 이후부터 시작되었으며, 총 121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되었다. 그 주요 주제는 참깨의 성분 분석, 참깨의 조성, 참깨의 육종 재배와 참기름의 진위 판별이었다. 식용시 매우 중요한 것은 향미성분 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참깨의 품종간의 차이, 배전 조건, 추출 여과의 조건 등이었다. 이것으로써 참깨에 대한 더 면밀한 연구와 관능 검사에 대한 확실한 연구가 요구되며, 참기름의 압착수율의 향상, 참깨박의 이용 등이 부족함을 알았다.

Inspite of Korea's being major consuming country of sesame, the most of its supply depends on import. Furthermore, the researches of sesame have been conducted since 1973. So far total 121 academic papers have been published and their main subjects are the analysis of constituent and composition of sesame, breeding and cultivation of sesame and detection of alterated sesame oil. Though the flavor is very important at the time of eating, its study has been done only in the difference of the kinds of sesame, the condition of roasting, extraction, filtration. Thus the more detailed studies of them and sensorytest are required. Also it is found that the studies such as the improvement yield at sesame oil mill and the utilization of oil cake are nearly abs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