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지형학의 50년 회고와 전망

Reflection and perspective of the geomorphology in Korea

  • 오경섭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발행 : 1996.06.01

초록

한국 지형학은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와 같이 지리학의 주요 분야로서 성장해왔다. 50년전 대한지학회가 출범된 이래 지형학은 지리학에서 괄목만하게 발전된 분야에 속한다. 한국 지형학 발전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60년대 말까지의 기간은 제1세대 학자들에 의해 후 진이 양성되고 연구 활동이 주도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거의 무 에서 출발하다시피한 우리 지형학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되었다. 이를 모태로하여 70년대 이래에는 우리 지형학이 눈에 띄게 성장해올 수 있었다. 이 기간에 연구 인력의 양적 증가는 물론 연구 역량도 다양한 국제교류 및 협력을 통해 괄목할 정도로 향상 되어 왔다. 이러한 여건과 관련되어 근자에는 "한국 지형학회"가 설립되어 활발한 학회활동 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지형학자들의 역할은 "힌국 제4기학회" 등과 같은 통학제적 학 회 활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60년대 까지의 우리 지형학의 주요 관심사는 한반도의 침식면을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W.M. Davis의 "지형윤회설" 과 L.C. King의 "pedimentation이론"이 당시 한국 지형학에 미친 영향이 컸다. 70년대 이래 에는 이들의 영향에서 탈피하여 침식지형면 연구는 기후 지형학의 관점 및 방법론이 자리 잡는데 향도적 역할을 했다. 이와 맞물려 우리 지형학도 최소한의 자족력을 갖출 정도로 연 구 대상이 다양해지고 보다 과학적인 방법이 자리잡히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런 추세에서 지형을 어느 특정 Master Theory에 맞추어 연구하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지형을 세심한 야외 조사와 과학적인 측정 및 분석 결과와 조화시켜 기술.해석하는 경향이 뿌리내리게 되 었다. 이러한 추세에서 기후지형학과 제4기 연구의 관점에서 화강암과 석회암 풍화와 관련 된 중.소 지형, 지형-토양 생성 환경 및 주빙하 현상에 관한 연구가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한 주요 침식 지형면 (산록완사면, 단 구 등)에 대한 새로운 해석도 많이 시도되어 왔다. 한편 해안 및 평야 지형에 대한 연구도 괄목할 정도로 축적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야외 측정치, 실험실 작업을 통해 계량적-분 석적 모델을 제시하려는 시도와 인간 간섭이 지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다.인간 간섭이 지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 루어지고 있다.

In Korea, modern geomorphology has developed as one of main subjects in geography, such as in Europe. Geomorphology is one of the most advanced specialties in the geography dicipline, since foundation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in 1945. Untill 1960's study, first generation of the Korean geomorphologists trained the younger ones, together with energetic research activities. Their great works in education and research established the base of ulterier development of the geomorphology in Korea. Since 1970s, research manpower and quality has incresed rapidly, partly due to the various international activities and cooperations of Korean geomorphologists. Owing to above development, Korean geomorphologist was able to found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in 1990 and publish "Journal of GAK", since 1994. Furthermore, geomorphologists are playing important roles in interdisciplinary academic societies, such as "The Korean Quaternary Assocition". Still 1960s, our research had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erosional surfaces in Korea Peninsular. Of course, W.M. Davis's "Geographical Cycle Theory" and L.C. King's "Pedimentation Theor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erans' works. After 1970s, the study of erosional surface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setting up the morphoclimatic viewpoint and methodology. Research scope tend to be notably broad and various than it was untill 1960's. Disposotion of the scientific methods and techniques become more and more apparent. These trends of research has settled precise descreption and interpretation of actual landforms, based on the careful field works, scientific measuring, and analisis, rather than methodology focused on the particular master theories. Recent geomorphological researches show the scope from climatic geomorphology and Quaternary geomorphology to granite and limestone weathering, pedo-geomorphogenic environment and periglacial landforms, focused on the small-to-medium scales. And then there have been new trying to interprete erosional surfaces such as hillslopes and terraces. Also, studies of coastal and plain landforms have been successfully developed. Recent new trends show the quantitative and analytic modelling using field measurement and laboratory work, and study on the human impacts on the natural landforms.y on the human impacts on the natural landforms.

키워드

참고문헌

  1. 청주대 논문집 v.10 충북의 Karst 지형 강승삼
  2. 지리학연구 v.1 화강편마암에 발달한 적색토에 관한 연구 강영복
  3. 지리학 v.15 계양산 산록면에 발달한 토양단면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강영복
  4. 지리학 v.18 한국의 적색토 풍화과정의 특성 강영복
  5. 지리교육논집 v.9 한국의 적색토생성에 있어서 고토양 문제에 관한 연구 강영복
  6. 지리교육논집 v.18 우리나라 습윤온대 기후지역 평탄면 지형 위의 고적색토의 토양지형 생성적 특성 강영복
  7. 지리학연구 v.14 지중해 적색토의 성인적 특성과 토양분류 체계에 관한 고찰-우리나라 카르스트 지형의 적색토의 생성작용 및 지형 형성작용의 규명을 위한 관점에서 강영복
  8. 한국지형학회지 v.1 no.2 카르스트현상의 토양지형생성적 특성: 단양군 삼화동 지역의 사례연구 강영복
  9. 지역개발논문집 v.7 산록완사면 발달사에 관한 연구 고의장
  10. 지리학연구 v.9 제주도와 울릉도의 지형경관에 관한 비교연구 고의장
  11. 지리학회보 v.22 Tor 현상에 관한 이해 권동희
  12. 지리학 v.32 금정산의 Tor현상에 관한 연구 권동희
  13. 동국지리 v.7 Tor와 Joint의 관계-경주 남산을 중심으로- 권동희
  14. 동국지리 v.7 Tor와 구조현상과의 관계 권동희;김혜자
  15. 지리학논총 v.5 부산시 범어사 주변의 Block field에 관하여 권순식
  16. 지리학논총 v.6 거제도의 주빙하 퇴적물 권순식
  17. 지리학논총 no.별호 4 한반도 화강암 풍화층에 발달된 제4기 후반의 주빙하 결빙구조에 관한 연구 권순식
  18. 지리학 v.8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연구 권혁재
  19. 고려대 교육논총 v.1 한국의 하천과 충적지형 권혁재
  20. 지리학 v.10 황해안의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금강 · 동진강 하구간의 간석지를 중심으로 권혁재
  21. 지리학 v.14 낙동강 하류지방의 배후습지성 호소 권혁재
  22. 고려대교육논총 v.7 주문진~강릉 간의 해안지형과 해빈퇴적물 권혁재
  23. 사대논집 v.6 태안반도와 안면도의 해안지형 권혁재
  24. 사대논집 v.9 한강 하류의 충적지형 권혁재
  25. 사대논집 v.14 논산평야 권혁재
  26.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월출산의 화강암 지형에 관한 연구 기근도
  27.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삽교천 하류의 충적단구 김기우
  28. 전주교대논문집 v.16 Karst지형에 관한 연구: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김대경
  29. 낙산지리 v.1 한라산의 구조토 고찰 김도정
  30. 낙산지리 v.2 서울 근교의 화강암 풍화에 대한 기후지형학적 고찰(특히 백운대 및 인수봉 지역을 중심으로) 김도정
  31. 지리학 v.8 한국의 설식의 유형 김도정
  32. 서울대 논문집(이공계) v.10 한국 중부지방의 지형발달 김상호
  33. 제주도 v.7 제주도 지형의 이모저모 김상호
  34. 사대학보 v.6 no.1 추가령열곡에 대한 고찰 김상호
  35. 사대학보 v.8 no.1 Pediplain 및 Pediplanation 김상호
  36. 서울대 학술총서 v.2 한강하류의 저위침식면 지형 연구 김상호
  37. 서울대학교 논문집 v.21 중부지방의 침식면 지형연구 김상호
  38. 낙산지리 v.4 충적면에서 본 후빙기 이래의 정선변화 김상호
  39. 자연보호 v.19 한국의 산맥론 김상호
  40. 지리학 v.19 낙동분지지형의 고도점 분포 분석 김우관
  41. 낙동지리 v.5 지형학연구와 지형계측 김우관
  42. 낙동지리 v.6 낙동분지의 경사분석과 그 분포 김우관
  43. 경북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 v.32 남한강 분지의 사면 경사 분석과 지형 자원 김우관
  44. 경북대 논문집(인문사회과학편) v.37 북한강 유역의 사면경사 분석과 지형자원 김우관
  45. 지리학연구 v.10 낙동강 유역의 경사분석과 그 분포(수정보완) 김우관
  46. 논문집 v.42 영산강유역의 하계망 분석 김우관
  47. 지리학연구 v.8 제주도 기생화산의 사면형태 김우관;정영관
  48. 녹우회보 v.9 한강 하류의 하중도에 관한 고찰: 하중도의 변천과 형태를 중심으로 김정혜
  49. 지리학보 v.6 충남 안면도의 해안사구 및 Salt Marsh 발달에 관한 연구 김종식
  50. 지리학 v.43 하천지형 발달에 관여하는 주요 변수들간의 기능적인 관계에 관한 연구 김종욱
  51. 한국지형학회지 v.1 no.1 영산강 곡류절단부에서의 하도 변화에 관한 연구 김종일
  52. 지리학연구 v.1 Joint와 하천유량과의 관계 고찰 김주환
  53. 지리학 v.18 불암산 지역의 Joint 연구 김주환
  54. 지리학연구 v.10 한국 동남지대에 발달한 선구조선에 관한 연구 김주환
  55. 논문집 v.24 형산강, 태화강, 양산천 유역의 Joint 현상에 관한 연구 김주환
  56. 지질학회지 v.24 no.특별 양산천 유역의 경사와 절봉면 분석 김주환
  57. 지리학 v.40 태화강 유역의 경사와 절봉면 분석 김주환
  58. 지리학연구 v.4 한국의 화강암에 발달된 Salt Weathering 현상에 대한 기후지형학적 연구 김주환;장재훈
  59. 지리학회보 v.28 구릉지의 기원과 발달 김창환
  60. 지리학연구 v.14 전라북도 남서지역의 구릉지 경사 분석 김창환
  61. 지리학 v.42 나주 구릉지의 개석도 분석 김창환
  62. 신흥대학교 논문집 v.1 no.2 한국선상지 연구 박노식
  63. 경희대학교 논문집 v.5 한강 하류지형면의 분류와 지형 발달에 대한 연구: 양수리에서 능곡까지 박노식
  64. 지리학 v.3 한강력의 원마도에 관한 연구 박동원
  65. 문리대학보 v.15 no.83 한강 하류하상 변동에 대하여 박동원
  66. 지리학 v.15 원격탐사 방법에 의한 천수만 간석지 지형 연구 박동원
  67. 지리학논총 v.12 남한강에 있어서 하계망과 지질 구조선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박동원
  68. 낙산지리 v.4 하계망과 지질구조선의 관계에 대한 연구: 낙동강 유역을 예로 하여 박동원;강필종
  69. 지리학논총 v.8 제주도 파식대에 대한 지형학적 연구 박동원;오남삼
  70. 지리학논총 v.6 우리나라 서해안의 사구지형 박동원;유근배
  71. 경북지리 no.창간 천황산 일대 산지지형의 지형계측특성 박상기
  72.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화도 염생습지 퇴적물에 관한 연구 박의준
  73. 한국지형학회지 v.1 no.1 SRC Method에 의한 산지 소유역의 부유토사 유출량 산정 박종관
  74.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남한강 중상류 분지의 지형 연구 박희두
  75. 지리학연구 v.18 영월지역 단구퇴적물층내의 Sand에 대한 현미경 분석 박희두
  76. 지리학 v.31 내성천 상류 Bar의 형성과정 손명원
  77. 지리학연구 v.10 반변천의 하안단구에 관한 연구 손명원
  78.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낙동강 상류와 왕피천의 하안단구 손명원
  79. 지리학논총 v.10 하도 변천에 의해 형성된 하안퇴적지에 관한 연구-영산강 중류를 대상으로 손일
  80. 죽과 홍순원교수 회갑기념논문집 저수지 하류의 하도 변화에 관한 연구 손일
  81. 지리학논구 v.14 송천 감입곡류의 지형발달 송언근
  82.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한반도 중 · 남부 지역의 감입곡류 지형발달 송언근
  83. 한국지형학회지 v.1 no.1 구계천에 있어서 감입곡류절단과 관련된 하안단구의 지형발달 송언근
  84. 부산여대논문집 v.8 한반도 동서해안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면의 대비 오건환
  85. 부산여대논문집 v.9 한반도의 혜성단구와 제4기의 지각변동 오건환
  86. 교육논집 v.10 구정선 고도 변화로부터 본 한반도의 제4기 지각변동 오건환
  87. 지리학연구 v.2 북평 주변의 침식지형 연구 오경섭
  88. 제4기학회지 v.3 no.1 Bt Band의 형성과정 오경섭
  89. 지리학 v.40 화강암 풍화층의 점토조성과 풍화환경 오경섭
  90. 제4기학회지 v.8 no.1 전곡리 용암대지 피복물의 형성과 변화과정 오경섭;김남신
  91. 한국지형학회지 v.1 no.2 금강과 만경강 역과 모래의 비교연구 오경섭;오선희
  92. 논문집 v.3 화산경관 분출순서 연구 오남삼
  93. 지역과 환경 고도별 카르스트 지형의 비교연구 유재신
  94. 지리학논총 v.9 용오 단상지의 철각 연구 유흥식
  95. 죽파 홍순원교수 회갑기념 논문집 고도분포 특성의 계량적 표현: 밀양강 유역의 예 윤인혁
  96. 지리학논구 v.14 대전, 충남지역의 기복량과 기반암의 관계 윤인혁
  97. 지리학총 v.10 거창분지의 지형발달 이민희
  98. 지리학총 v.11 화강암 지역에 발달한 태양분지의 지형고찰 이민희
  99. 동굴 v.6 no.7 제주도의 기생화산의 형성과 분포에 관한 연구 이수진
  100.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관령 지역의 설식지형 연구 이용범
  101. 지리학총 v.16 영월 구하도의 Talus발달 이정우
  102. 지리학연구 v.9 서해 중부이남 해안에 발달한 해식애에 관한 연구 이형호
  103. 지리학연구보고 v.7 한국의 서해안에 발달한 해식애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이형호
  104. 지리학연구 v.1 영춘지역 하안단구 연구 임창주
  105. 논문집 v.6 영월지역의 하안단구 연구 임창주
  106. 논문집 v.7 남한강 하류의 하안단구 지형연구: 동강과 서강 일대를 중심으로 임창주
  107. 논문집 v.26 남한강 유로의 사행과 하안단구 분포의 상관성 연구 임창주
  108. 충북지리 v.10 정성군 동면 테일러스의 형태적 특징과 형성과정 장양기
  109. 지리학논총 v.15 석회암과 고석회암지역의 지표피복물에 관한 연구 장은미
  110.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산록완사면 지형에 대한 연구 장재훈
  111. 지리학 v.2 산록완사면 지형에 대한 연구 장재훈
  112. 兄山先生華甲記念論文集 산록완사면 지형에 대한 연구 장재훈
  113. 지리학 v.7 남원 지역의 산록완사면 연구 장재훈
  114. 지리학연구 v.1 충주지역의 산록완사면 연구 장재훈
  115. 성신여자사범대학 연구논문집 v.7 제천지역의 산록완사면 연구 장재훈
  116. 성신여자사범대학 연구논문집 v.9 산록완사면의 형상적 특징과 성인연구 장재훈
  117. 지리학연구 v.3 한국 산록완사면의 기후지형학적 고찰 장재훈
  118. 지리학연구 v.5 완사면과 피복퇴적물에 관한 연구 장재훈
  119. 응용지리 v.8 한국의 침식분지에 관한 연구 장재훈
  120. 지리학 연구 v.3 강릉 주변의 저위침식면 지형연구 장호
  121. 지리학논총 v.10 남서부지방의 제암석에 나타나는 풍화혈의 성인과 형성시기 장호
  122. 지리학 v.27 지리산지 주능선동부의 주빙하지형 장호
  123. 지리학논구 no.10·11합본 암설사면에 관한 연구동향 및 이론적 배경-Talus · Block stream · Block field를 중심으로 전인권
  124. 강원지리 v.11 설악산 울산바위 주변의 Tor에 관한 연구 정웅천
  125. 지리 v.2 영월부근의 지형: 하안단구지형을 중심으로 정창호
  126.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의 카르스트 지형 연구 정창호
  127. 형산선생 회갑기념논문집 한국의 Karst지형 정창호
  128. 수도여자사범대 논문집 v.6 북한강 유역 하계망 발달의 정량적 분석 정장호
  129. 단양, 영춘지역 Karst토양 지형학적 연구 조대현
  130. 논문집 v.33 우리나라 하구퇴적층의 층상구조 조화룡
  131. 경북대 사범대 교육연구지 v.29 만경강 연안 충적평야의 지형발달 조화룡
  132. 한국의 충적평야 조화룡
  133. 지리학 v.41 남한의 토탄지 연구 조화룡
  134. 지리학 v.25 해안평야 미지형 퇴적물의 입도조성 - 경상북도 동해안을 사례로 조화룡;신윤호
  135. 한국지형학회지 v.1 no.2 양산단층 중앙부의 활단층지형과 Trench 조사 조화룡(외)
  136. 제4기 학회지 v.1 가조분지의 지형 발달 조화룡;장호;이종남
  137. 한국지형학회지 v.1 no.1 후빙기 후기의 '가와지'곡의 환경변화 조화룡;황상일;윤순옥
  138. 지리학연구 v.16 여천리 석회암지역 피복물의 성인과 특성에 관한 분석 최무웅;임종호
  139. 지리학과 지리교육 v.12 우리나라 서해안의 Shore Platform 연구 : 서산 · 보령 해안간을 중심으로 최성길
  140. 논문집(사회과학편) v.20 우리나라 서해안의 Shore Platform 연구 : 아산만의 한진리 해안을 중심으로 최성길
  141. 지리학연구 v.9 변산반도 일대의 구정선지형 고찰: 격포리와 대항리를 중심으로 최성길
  142. 지리학 v.31 진도 내만지역 Shore platform의 형태와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최성길
  143. 지리학논총 v.18 no.1 墨湖海岸의 Shore Platform과 低位海成段丘 최성길
  144. 한국 제4기 학회지 v.7 no.1 韓國 東海岸에 있어서 最終間水期의 舊汀線高度 연구: 後期 更新世 河成段丘의 地形層序的 對比의 관점에서 최성길
  145. 지리학논총 v.9 延日 段狀地의 저습지형 퇴적물에 관한 연구 최한성
  146. 강원지리 no.창간 춘천분지의 지형 연구 최홍규
  147. 지리학논총 v.10 Tafoni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덕숭산을 대상으로- 추미양
  148. 지리학 v.3 동해안 정동리 일대의 해안평탄면 지형 연구 황만익
  149. 논문집 v.3 낙동강 상류지역의 지형분류에 관한 연구 김대경
  150. 논문집 v.5 개발을 위한 지형분류의 Mesh 법적 평가에 관한 연구 김대경
  151. 지리학총 v.9 만수천 상류의 단상지형 연구 반용부
  152. 녹우회보 v.24 마이산 일대에 나타나는 미지형의 기후지형학적 연구 성효현
  153. 地理敎育論集 v.22 Functional geomorphology의 硏究 方法論 金鍾旭
  154. 地理學論集 v.17 no.1 應用地形學의 展望과 課題 金鍾旭
  155. 地理敎育論集 v.30 地形學에서의 時間의 役割과 機能 金鍾旭
  156. Erdkundliches Wissen(Beiheft zur Geogr. Zeitschrift) v.33 Inhalt und Stellung der funktionalen Methode in der Geomorphologie;Geographie heute, Einheit und Vielfalt (Festschrift f. E. Plewe) Ahnert,F.;E.Meynen(ed.)
  157. Applied Geomorphology Hails,J.R.(ed.)
  158. Global Geomorphology Summerfield,M.A.
  159. An Introduction to Theoretical Geomorphology Thorn,C.E.
  160. 지형학 권혁재
  161. 지리교육논집 v.22 Functional Geomorphology의 연구방법론 김종욱
  162. 지리학 no.13 지형학 박노식;박동원
  163. 지리학과 지리교육 v.9 신지형학: 방법론과 문제점 박동원
  164. 지리학논총 no.10 한국의 지형연구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전망 박동원
  165. 한국지리학: 현재 · 과거 · 미래 한국 지형학의 50년 회고와 전망 오경섭
  166. 제4기 시료 분석법 일본제4기학회(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