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larval Gnathostomn obtained from imported Chinese loaches

중국산 수입 미꾸리로부터 획득한 악구충 제3기 유충의 종 동정

  • 손운목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이순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Published : 1996.09.01

Abstract

We observ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dentified the species of gnathostome larvae obtained from the imported Chinese loaches. The early third-stage larvae ($EL_3$) were collected from viscera of the loaches and a part of them were infected to mice. The advanced third-stage larvae ($AdL_3$) were recovered from the mice at 4 weeks post-infection. both larval worms were fixed loth 10% formalin, cleared in alcohol-glycerin solution, mounted with glycerin-jelly, and observed. A total of 369 $EL_3$ were collected from viscera of 9,493 Chinese loaches. The whole body of $EL_3$ was covered with about 190 transverse rows of minute cuticular spines and $0.624{\;}{\times}{\;}0.101{\;}mm$ in average size. A pair of lips were protruded at the anterior end, and the muscular esophagus and brownish intestine were followed. The characteristic head bulb was provided with 4 rows of hooklets. The average number of hooklets in the respective row was 36.7, 39.5, 41.6 and 44.3 posteriorly $AdL_3$ was $2.660{\;}{\times}{\;}0.346{\;}mm$ in average size, and retained the esophagus (about 0.755 mm length) and cervical sac (about 0.355 mm length). The average number of hooklets in the respective row on the head bulb was 39.0, 41.9, 43.9 and 45.6, posteriorly.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y were identified as the third-stage larvae of Gnathostomc hispinun.

중국산 수입 미꾸리로부터 획득한 악구충 유충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고 종 동정하고자 하였다. Early third-stage larva($EL_3$)는 중국산 미꾸리의 내장에서 분리 수집하였고 advanced third-stage larva($AdL_3$)는 $EL_3$를 마우스에 실험감염시킨 후 4주에 회수하였다 미꾸리 및 마우 스로부터 획득한 충체들을 10% formalin으로 고정하였고 alcohol-glycerin 용액을 거쳐 glycerinfelly로 봉입한 후 관찰 및 계측하였다. 총 9 493마리의 중국산 미꾸리를 조사하였던 바 총 369마리의 $EL_3$가 검출되었다. $EL_3$는 평균 0.624{\;}{\times}{\;}0.101 mm 크기이었고 체표면에 약 190 줄의 가로주름(transverse striation)이 나 있었으며 각 주름에는 미세한 가시(cuticularspine)들 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의 전단에는 1쌍의 구순이 돌출되어 있었고 그 뒤로 근 육성의 인두(평균 0.229 mal)와 갈색의 장이 이어졌으며 후단 근처의 복측에 항문이 개구하였다 특징적인 head bulb(평균 0.034{\;}{\times}{\;}0.071 mm)에는 소구(hooklets)가 평균 36 7개, 39.5개, 41.6개 및 44.3개씩 4줄 배열되어 있었고 head bulb 바로 뒤에는 2쌍의 cervical sac(평균 0.133 mm)이 인두를 따라 길이로 배열되어 있었다. AdLB는 평균 $2.660{\;}{\times}{\;}0.346{\;}mm$ 크기이었고 충체 전단의 구순 특징적인 head bulb(평균 $0.097{\;}{\times}{\;}0.193{\;}mm$), 근육성의 인두(평균 0.755 mm), 2쌍의 cewicalsac(평균 0.355 mm). 갈색의 장 등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충체 head bulb에는 소구가 평균 39.0개, 41 9개, 43.9개 및 45.6개씩 4줄 배열되어 있었으나 몇 몇 충체에서는 5번째 줄에 3~7개의 소구가 배열되어 있었다. 이상의 형태학적 특징 및 계측치를 토대로 하여 중국산 수입 미꾸리와 실험감염 마우스로부터 획득한 악구충을 돼지악구충 (Gnathostoma hispidum)의 제3기 유충으로 동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