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ationwide survey of naturally produced oysters for infection with Gymnophalloides seoi metacercariae

전국 여러 지역산 굴의 참굴큰입흡충 피낭유충 감염 상황

  • 이순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손운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A nationwide survey was performed to know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mnophallidae) metacercariae in Korea, by examining the infection status of locally produced oysters, Crassosden gillu. A total of 24 coastal areas (myons) of 14 guns (=counties) in Kyonggi-do, Chollabuk-do, Chollanam-do, Kyongsangnam-do, Kyongsangbuk-do, or Kangwon-do, where natural oysters are produced but G. seoi has never been reported, and 13 areas (myons) of Shinan-gun, Chollanam-do, nearby the known endemic area, were surveyed. Oysters from non- endemic areas were free from G. seoi infection, except Byonsan-myon of Buan-gun, Chollabuk-do, where one of 50 oysters examined was infected with 15 metacercariae of G. seoi. In Shinan-gun, oysters from 10 areas including Aphae-myon (= township) and Anjwa-myon were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with the infection rate ranging from 1.7% to 100% by areas. The intensity of infection was the highest in Aphae-myon, 785.9 metacercariae per oyster.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 prevalence of G. seoi is confined to Shinan-gun, but low grade prevalence is also present in adjacent areas such as Buan- gun, Chollabuk-do.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의 국내 분포상황을 알기 위하여 동해안 남해안 및 서해안 등 여러 해안 지역에서 참굴을 채집한 후 참굴큰입흡충 피낭유충 감염상황을 조사하였다. 전라남도 신안군의 13개 면과 신안군 외 14개 군(경기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강원도)의 씨개 면을 대상지역으로 하였고. 굴의 피낭유충 감염 여부 및 감염량을 조사하였다. 신안군 13개 면 중 압해면 및 안좌면을 포함한 10개 면의 굴에서 피낭유충 감염이 확인되었고 지역별 감염률은 1.7-100%이었다. 그 중 압해면산 굴이 개체당 평균 785.9개의 피낭유충을 보유하고 있어 감염량이 가장 높았다 신안군 이외의 24개 면 중에서는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만 제외하고 모두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부안군 변산면에서는 굴 50개 중 1개에서 피낭유충 15마리가 검출되었다. 이번 연구 결과로 보아 참굴큰입흡충의 농후한 유행은 전라남도 신안군에 국한된 것으로 보이며, 전라북도 부안군 등 인근 지역에 약간의 유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