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재(Cambaroides similis)에 피낭한 가시큰고환흡충 (Marroorchis spinulosus Ando, 1918)의 재기록

Redescription of Mocroorchis spinulosus Ando, 1918 (Digenea: Nanophyetidae) encysted in the fresh water crayfish, Cambcroides similis

  • 채종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
  • 손운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풍토병연구소,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발행 : 1996.03.01

초록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어성전리에 서식하는 참가재(Cambaroines simiLis)의 근육에서 Marroorchis spinulosus Ando. 1918(Digenea: Nanophyetidae)의 피낭유충을 검출하고 마우스 흰쥐 및 고양이에 실험감염시켜 성충을 얻은 다음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 들의 소장으로부터 감염 5-21일에 총 117마리의 충체를 회수하였으며. 평균 충체회수율은 31-37%로서 동물별로 큰 차이가 없었다. 피낭유충은 등글고. 평균 직경 0.18 mm이며. 2개의 두꺼운 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Y-자형의 배걸낭을 가지고 있었다. 성충은 대부분 난형이며 길이 0.66-0 71 mm. 폭 0.36-0.41 mm이었다. 구흡반에는 침(stylets) 1개가 있고. 난소가 체중앙부 근처에서 다양하게 위치하며. 저정낭이 이낭형(bilobed)이고 두 고환이 약간 전측방에 위치하는 점 등의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험 감염에서 얻은 성충들을 M. spinulosus로 동정할 수 있었으나 그 형태가 최초 기록과 몇 가지 다른 점이 있어 앞으로 이 흡충의 원환한 진단을 위왜 충체의 형태를 수정하여 재기록하였다 이 장흡충푸 국내에는 미 기록종이며 포유동물을 종숙주로 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인체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충체의 우리발 이름을 가시큰고환흡충으로 부를 것을 제안한다.

Mccroorchis spinuLosw Ando, 1918 (Digenea: Nanophyetidael is redescribed based on adult flukes recovered from experimental mice, rats and cats which were fed with metacercariae encysted in the muscle of the crayfish, Cambnroines similis. A total of 117 adult flukes were harvest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the experimental animals at S-21 days post-infection. The worm recovery rate was 31-37%,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kinds of animals. The metacercariae were round, 0.18 mm in average diameter, encysted with two layers of thick walls, and possessing a stylets on the oral sucker and Y- shaped exc retory bladder. The adult flukes were oval, 0.66-0.71 mm long and 0.36-0.41 mm wide, and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 stylet on the oral sucker, variable location of the ovary near the mid-portion of the body, bilobed seminal vesicle, and anterolateral location of two testes. These morphological features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description, hence, an emended version of M. spinulosw was given. M. spinuLosw is a new intestinal trematode of animals and possibly man in Kor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