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피볼락 습사료에 대한 건조사료의 사육효과

Evaluation of Dry Pellet on Growth of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y Comparing with Moist Pellet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 Lee Sang-Min (Aquaculture Departmen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 Jeon Im-Gi (Aquaculture Department,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 발행 : 1996.08.01

초록

조피볼락 배합 사료로써 dry pellet (DP)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회에 걸쳐 사육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실험에 사용된 사료 조성은 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이 $56\%$ 첨가된 사료(실험1)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북양어분을 $38\%$로 줄이는 대신, 대두박과 콘글루텐 밀을 $25\%$ 첨가한 사료(실험 2)를 설계하여 각각 DP 및 moist pellet (MP) 형태로 제조하였고, 양어가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생사료(법동 메가리)와 시판 분말 사료를 1 : 1로 혼합한 생사료 MP(raw h-based MP : RMP)를 제조하였다. 4.7 g 전후의 치어를 11주간 3반복으로 사육한 실험 1의 결과, 최종적으로 평균체중 및 일일 증체율이 DP, MP 및 RMP 사료간에서 서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전어체의 단백질, 지질 및 수분 함량도 사료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사료효율은 세 실험구 중에서 RMP구가 가장 높았고(P<0.05), 사료 조성비가 같은 DP와 MP사이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11 g 전후의 조피볼락을 8주간 사육한 실험 2에서는 성장 및 일일증체율이 RMP 실험구가 DP 실험구보다 좋았지만, MP와 RMP 실험구간에서는 유의한 성장차이가 없었다(P>0.05), 사료효율은 DP구가 가장 낮고 RMP구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이러한 차이는 사료 단백원 중 식물성 대체 단백원(대두박, 콘글루텐 밀)이 차지하는 비율과 RMP구의 단백질 함량이 $57\%$로 타 실험구보다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1과 2의 결과들로부터 실험 배합 사료의 물성은 조피볼락의 성장이나 사료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보다 적합한 실용배합 사료가 개발되면, DP도 조피볼락의 배합사료로써 손색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dry pellet on growth of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y comparing with moist pellet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In the first experiment, three replicate groups of 40 fish averaging 4.7 g were fed one of the following three experimental diets for 11 weeks : d교 pellet (DP) and moist pellet (MP) diets containing $56\%$ white fish meal (WFM) + $3\%$ soybean meal (SM) + $5\%$ corn gluten meal (CGM) as protein sources, or raw fish-based moist pellet (RMP, $50\%$ frozen horse mackerel+$50\%$ commercial fish fe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fish fed different pellet types of diets in daily weight gain and whole body composition (P>0.05). In the second experiment, two replicate groups of 140 fish averaging 10.9 g were fed one of the following three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 DP and MP diets containing $38\%$ WFM+$15\%$ SM+$10\%$ CGM as protein sources, or RMP. Daily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from fish fed RMP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from fish fed DP diet. These different growth responses between two experiments may be due to dietary protein sources and nutrient content. findings showed that DP can be used as a practical diet for juvenile Korean rockfis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