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식품과학회지)
- Volume 28 Issue 5
- /
- Pages.882-887
- /
- 1996
- /
- 0367-6293(pISSN)
Changes in Contents of Some Taste Compounds of Dried Mussel and Baby Clam during Storage
건조 홍합 및 바지락의 저장 중 핵산관련물질 및 유기염류의 변화
- Joo, Ok-Soo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Chinju National University) ;
- Seo, Kwon-I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Soo (Dawsun Distilling Co. LTD) ;
- Lee, Jong-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en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Sang-Do (Department of Food Processing, Chinju National University) ;
- Shim, Ki-Hwa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주옥수 (진주산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서권일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 이용수 (대선주조주식회사) ;
- 이종호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최상도 (진주산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심기환 (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6.10.30
Abstract
Some taste compounds such as nucleotide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rimethylamine oxide (TMAO), trimethylamine (TMA) and total creatinine of sea mussel and baby clam during drying at 40, 50 and
홍합과 바지락의 건조 및 저장조건에 따른 핵산 및 그 관련물질과 유기염류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합과 바지락 모두에서 ATP, ADP, AMP, inosine, adenosine 및 hypoxanthine의 6성분을 분석하였다. 홍합과 바지락 모두 생시료의 경우 adenos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건조 및 저장에 의해 ATP, ADP 및 AMP의 함량은 감소하고 inosone 및 hypoxanthine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TMAO, TMA및 총 creatinine의 함량은 두 시료 모두 함량이 아주 낮았으며, 건조 및 저장에 의해 TMAO 및 총 creatinine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 TMA의 함량은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