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식품과학회지)
- Volume 28 Issue 2
- /
- Pages.253-259
- /
- 1996
- /
- 0367-6293(pISSN)
Distribu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asts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재래식 및 개량식 고추장 효모의 분포 및 생리특성
- Jung, Yoon-Chang (Food Research Center, Miwon Co., Ltd.) ;
- Choi, Won-Jin (Food Research Center, Miwon Co., Ltd.) ;
- Oh, Nam-Soon (Food Research Center, Miwon Co., Ltd.) ;
- Han, Min-Su (Food Research Center, Miwon Co., Ltd.)
- Published : 1996.04.30
Abstract
To investigate the yeast florae in the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computer identification systems, Vitek, API kit and conventional identification methods were used. Yeast florae of each process were compared and their typic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also tested. Various process intervals yielded 330 colonies, which resulted in 11 species 184 strains classified. They were identified into Candida glabrata C. guilliermondii. C. humicola. C. rugosa, C. zeylanoides, Cryptococcus uniguttulatus, Pichia farinosa, Rhodotorula glutini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The strains of Candida, Pichia, Saccharomyces and Zygosaccharomyces were existing in both processes. In case of commercial process, the maximum distribution of Z. rouxii and S. cerevisiae were 33% at 15 day fermentation and 13% at 21 day,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Candida spp. was gradually decreased throughtout the fermentation period from 40% to 10%. In the traditional process, the maximum distribution of Z. rouxii and S. cerevisiae were 53% after 3 months and 26% after 7 months, respectively, S. cerevisiae and Z. rouxii showed distintive growth pattern at the high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sodium chloride and played important roles in both processes of fermentation. Physiological tests revealed that only two major yeasts. S. cerevisiae and Z. rouxii, showed vigorous carbon dioxide formation under the tested conditions.
개량식 고추장으로부터 동정한 효모들은 Candida glabrata C. guilliermondii. C. humicola. C. rugosa, C. zeylanoides, Cryptococcus uniguttulatus, Pichia farinosa, Rhodotorula glutinis, Saccharomyces cerevisiae Zygosaccharomyces rouxii로 분류되었다. 재래식 고추장에서 동정한 효모는 C. glabrata, P. farinosa, S. cerevisiae, Z. rouxii로 분류되었으며 분포율이 높아 발효숙성에 깊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는 효모는 재래식과 개량식고추장에서 Candida, Pichia, Saccharomyces, Zygosaccharomyces등 4속이었다. 개량식 고추장의 발효숙성 중기와 후기에 나타난 Z. rouxii와 S. cerevisiae는 고추장용 메주에서 분리되어 그 기원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Z. rouxii는 고추장용 메주에서 분포된 효모중 46%를 차지하였다. 발효숙성중 분포는 Z. rouxii가 15일 후에 33%, S. cerevisiae가 21일 후에 13%펄 각각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였다. Candida속의 경우 개량식 메주, 소맥코지, 콩코지 모두에서 분리되었으나 고추장의 발효숙성이 진행됨 에 따라 40%에서 10%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래식 고추장에서는 발효음성 3개월 후에 Z. rouxii가 53%, 7개월 후에 S. cerevisiae가 26%로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였다. NaCl 과 glucose를 혼용한 배지에서 S. cerevisiae와 Z. rouxii 등 2종의 효모가 다른 효모에 비해 생육이 현저히 나타난 것은 이들이 고추장의 발효숙성 과정에서 분리된 빈도수가 높았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S. cerevisiae와 Z. rouxii 두 균주는 무염 또는 7% NaCl이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먼저 가스를 생성하였으며 7% NaCl이 첨가된 조건하에서의 가스생산량은 Z. rouxii 및 S. cerevisiae 각각에서 0.024 ml/ml/hr, 0.013ml/ml/hr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