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에서 복합요법과 단일요법의 비교

Comparison of Single vs Combined Modality Treatment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애경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성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경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상기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혜정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종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서지원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주옥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선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im, Ae-K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Seong-S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Kyoung-S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Sang-G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o, Hai-J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ong-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eo, Jee-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u-O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5.08.31

초록

연구배경: 최근까지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율을 높이려는 여러 노력들이 있어왔지만 향상은 보이지 않는 설정에서 최근의 유도 화학요법 및 다각적 병합요법의 치료결과와 본 병원의 예를 봄으로 반응률 및 치료 성적을 비교하고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소들과의 상호 관계에 대해 조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stage III로 진단된 비소세포 폐암환자 총 67 명을 각각의 치료별로 분류하여 화학치료만 받은 군은 A 군이라 칭하였고, 화학 치료및 방사선 치료를 받은 군은 B군, 수술과 화학 치료를 받은 군은 C군, 비 치료군으로는 D군으로 명하여 이들 군간의 반응률 및 치료 성적을 상호 비교하였고 생존에 영향을 미칠 여러 제반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과: 1) 화학 치료만 받은 군은 27 명, 화학 치료 및 방사선 치료를 같이 받은 군은 18 명, 수술 및 화학 치료를 받은 군은 15 명, 비 치료군은 7 명으로 각 군간의 나이, 운동능력, 혈액형, 조직학적, 성별, 흡연력의 분포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p>0.05). 2) 화학 치료만 받은 군과 방사선 치료도 병합하여 받은 군의 총 반응률은 47%으로 A군의 경우가 10%, B군이 11%를 차지하였으며 이들 간에 의미있는 반응율의 차이는 없었다(p=0.97). 3) 나이, 성별, 운동능력, 혈액형, 조직학적 차이, 흡연력의 치아가 반응률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p>0.05). 4) 치료별 A, B, C, D 각 군에 따론 생존 기간은 8.6개월, 13.4개월, 19.2개월, 5.4 개월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3). 비치료군보다는 치료군이, 화학 치료로 단독 치료만 받은 군보다는 병합 치료를 받은 군이 오랜 생존 기간을 보였다. 5) 치료시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칠 요소라는 운동능력과 진단 당시 임상병기로 나타났으나 그 외 나이, 성별, 혈액형, 조직학적 분류, 흡연력이 의미있는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결론: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복합 화학요법을 포함하여 수술 및 방사선 치료와의 병행은 화학요법 단독으로 치료한 군이든지 혹을 비치료군에 비해 월등하게 생존 기간의 향상을 가져옴으로 좋은 적응증을 가진 환자들을 선택하여 효과적인 화학 치료 및 다른 치료법을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이러한 여러 치료법들이 표준 치료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보다 충분한 증례에서 추후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지는 바이다.

Background: One quarter to one third of patients with NSCLC present with primary tumors that although confined to the thorax are too extensive for surgical resection. Until resently standard treatment for these patients had been thoracic radiation, which produces tumor regression in most patients but few cures and dismal 5-year survival rate. The fact that death for most patients with stage III tumors is caused by distant metastases has promped a reevaluation of combined modality treatment approaches that include systemic chemotherapy. Therefore, we report the results observed in a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multimodality treatment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from 1/91 to 8/93 in CNUH. Method: We grouped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evaluated response rate, median survival and the effect of prognostic variables. Among 67 patients evaluated, twenty seven patients classified with group A, received cisplatin and etoposide containing combination chemotherapy alone, eighteen patients, classified with group B, receive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ifteen patients, group C, received neoadjuvant or adjuvant chemotherapy and surgery with/without radiation therapy, seven patients, group D, received only supportive care. Result: The major response rate for group A and B was 37% and 61%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rate between A and B groups(p=0.97). Th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showed that differences of age, sex, pathology, blood type, smoking year, stage and ECOG performance did not related to improvement in survival. Median survival time was 8.6 months for group A, 13.4 months for group B, 19.2 months for group C, and 5.4 months for group D, respectively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3), suggesting that multimodality therapy was associated with signigicant improvement in survival. Subset survival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 for earlier stage and good performance state(p=0.007, 0.009, respectively). A possible survival advantages were observed for major response groups.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multimodality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ho had stage III disease, has yielded good median survival and long survival for seleted patients. But, it is necessory to validate above result with further investigation in large scale and in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