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적 흉부 병변에서 세침 흡입 생검의 진단 성적 및 합병증

Transthoracic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in Localized Pulmonary Lesions: Diagnostic Accuracy and Complications

  • 양석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연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순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태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경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윤호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동호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수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정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전석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교실) ;
  • 이중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Yang, Suck-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Yeon-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Soon-K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Kim, Tae-Wh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Kyung-S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Yoon, Ho-J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Shin, Do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Park, S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Jung-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Jeon, Seok-Chol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 Lee, Jung-Dal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발행 : 1995.10.31

초록

연구목적: 경피적 세침 흡입 생검술은 여러 가지 흉부내 병소의 진단에 널리 이용되는 시술로 안전하고 정확성이 뛰어난 검사법으로 현재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흉부 병소의 진단에 있어서 다른 진단 방법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며 간편하게 진단을 얻을 수 있는 이러한 흡입 생검술을 이용하여 최근 10년간 930명 환자 1,005예의 폐병변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이의 진단 성적 및 합병증 발생변도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를 내원하여 흉부내 여러가지 병변을 가진 환자 930명 1,005예를 대상으로 경피적 세침 흡입 생검술을 1983년 11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시행하였는데, 이중 남, 여 비는 1.9:1로서 대부분의 환자는 40~60대 였다. 환자는 시술을 하기전에 단순 흉부 촬영을 시행하였고 대부분의 경우 컴퓨터 단층 촬영을 같이 시행하여 생검할 위치와 방향을 정하였다. 양면 영화혈관촬영기술 사용하고 22G 또는 20G Westcott needle을 이용하여 시술하였고 이의 검체를 이용하여 병리학적 진단을 얻었으며 이러한 시술을 통해 악성 및 양성 질환에서의 진단 민감도를 알아보고 시술후 합병증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결과: 경피적 세침 흡입 생검술 결과 악성 질환은 총 930명중 540명(58.1%)였고 양성 질환은 322명(34.6%)이었고 진단 민감도는 악성 질환에서 96.1%였고 양성질환에서는 91.0%였다. 정확한 진단을 얻지 못한 경우는 68명(7.3%)이었고 519명의 악성 질환으로는 편평세포암 31.7%, 선암 24.7%, 소세포암 16.7%, 전이암 14.2%, 대세포암 6.2% 기타 6.5%였으며, 시술후 합병증으로는 기흉 12.3%로 이중 흉관 삽입이 필요한 경우는 0.6%에 불과하였고 3.6%에서 소량의 객혈을 나타냈으며 시술로 인한 사망환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흉부 악성 및 양성 병소의 진단에 있어서 경피적 흡인 생검을 이용하여 비교적 높은 민감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치료를 요하는 합병증도 적어 세침 흡입 생검이 흉부 병소 진단에 안전하며 간단하고 유용한 진단방법으로 생각된다.

Introduction: Transthoracic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TNAB) has shown to be a resonably safe, simple, and accurate procedure in diagnosis of intrathoracic lung lesions. We reviewed the results of 1,005 TNAB of chest lesions performed on 930 patients with 20 or 22-gauze needles over a period of 10 years. Methods: From November 1983 to June 1995, 1,005 cases in 930 patients with an undiagnosed lung lesion underwent TNAB at the Hanyang University Hospital: 66% were men and 34% were women. Most of the patients were 40~60 years old and the youngest patient was 3 years of age. Result: 540 patients had various malignant chest lesions and 322 patients had benign pulmonary lesions. The diagnostic accuracy of TNAB was 96.1 percent in malignant diseases with one false positive result and 90.1% in benign diseases. A definitive diagnosis was not obtained in the remaining 68 patients. The most common diagnoses among 519 malignancy chest lesions with TNAB were the following: squamous cell lung carcinoma, 31.7%; adenocarcinoma, 24.7%; small cell lung carcinoma, 16.7%; metastatic cancer, 14.2%; large cell lung carcinoma, 6.2% and so on. Complications included pneumothorax in 12.3% necessitating chest tube drainage in 0.6%. Minor hemoptysis occurred in 3.6%. There was no death directly attributable to the procedure.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NAB permits a direct approach to all kinds of localized lung lesions with a high degree of accuracy and without major complication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양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