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암 수술후 대흉근피판을 이용한 결손부위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after Resection of Tonsillar Carcinoma Using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 최은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이정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홍원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Choi Eun-Chang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eong-Joon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Won-Pyo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5.06.01

초록

저자들은 14례의 구인두암례에서 원발병소를 절제한 후 그 결손을 대흉근피판을 이용하여 동시에 재건하였다. 합병증으로는 근피판의 전괴사가 1례, 부분괴사가 3례, 창상감염이 1례, 혈종 2례, 하악골수염 및 불유합이 각 1례, 공여부위의 혈종이 1례 있었다. 인두피부누공 3례는 피판의 전괴사 및 부분괴사의 3례이었으며 변연절제(debridement)시 인두피부누공을 만든 예이었다. 8례에서는 합병증이 없었으나 6례에서 총 12건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합병증은 변연절제를 제외하고는 이차적인 재건술식 없이 치유되었다. 편도주위의 결손은 재건을 필요로하는 면적은 많으나 그 부피가 작아 재건이 어려웠으며 경부피부 혹은 구강 등 타 부위보다 합병증이 많음을 경험하였으나 대흉근피판은 안전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재건방법이었으며 특히 구강과 경부가 통하는 경우에도 경동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편도주위의 재건에는 피판이 필연적으로 접히게 되므로 대흉근피판의 부피가 큰 것이 단점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편도주위의 재건에 있어서는 대흉근의 두께 및 피하조직의 두께, 근피판의 적응, 디자인, 술기, 수술후 처치 등 선택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를 위하여 저자들이 사용하는 bilobular모양이 피판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The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represents a major contribution to head and neck cancer reconstruction. Its advantages are improved viability, one-stage reconstruction, and carotid protection. The oropharyngeal defect especially tonsillar area reveals valley shaped one with loss of a wide mucosal area. Using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to this defect is sometimes difficult due to its natural figure of bulkiness. This article reviews our experience with patients undergoing 14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in carcinoma of the tonsillar area. Complications and their incidences were I total loss, 3 marginal loss, 2 minor seperation of suture, I wound infection and 2 hematoma. Most of the complications did not require a second procedure for reconstruction. Bulkiness of the flap and gravity force to the upper suture line were thought to be causes of the complications. Modification of the flap design with bilobular figure was useful to reduce its bulkiness at the folding area. More stable suture around hard palate was needed to overcome seperation of the su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