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turucture and variation of juveniles in coastal water, Shinsudo, Samchonpo - 2. Seasonal variation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 분포하는 치어류(稚魚類)의 군집구조(群集構造)와 변동(變動) - 2. 계절변동(季節變動)

  • Kim, Yeong-Hye (Department of Marine Biolo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Kang, Yong-Joo (Department of Marine Biolo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영혜 (부산수산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 강용주 (부산수산대학교 해양생물학과)
  • Published : 1995.12.30

Abstract

To study the fish larval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f Shinsudo, Samchonpo, samples were collected with long bag net at 2 stations from October 1986 to September 1987. Forty-four species in 29 famil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investigation. Engraulis japonicus, Enedrias nebulosus, Ammodytes personatus and Astriconger myriaster predominated in fish assemblage. These four fish speci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6.79% in number and 73.94% in biomass.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 during the spring, but low in summer. A peak of diversity(H') for number was found in April 1987, and that for biomass was in October 1986. Four showing dominant species had their own seasonal abundance patterns, a peak of abundance between the species at 2 months intervals.

경상남도 삼천포시 신수도 연안의 치어류군집(稚魚類群集)의 계절변동(季節變動)을 연구하기 위하여, 1986년 10월부터 1987년 9월까지 매월, 2개의 정점에서 낭장망을 이용하여 치어(稚魚)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29과 44종이 출현하였다. 멸치, 베도라치, 까나리 및 붕장어 순으로 우점하였으며, 이 우점 4종은 총 개체수의 약 96.79%를, 총 생체량의 약 73.94%를 차지하였다. 치어류(稚魚類)의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은 봄에 연중 높은 값을 나타내는 반면, 여름에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봄에 우점 4종의 치어(稚魚)들이 많이 출현하기 때문이다. 개체수에 있어서 종다양도(種多樣度)(H')은 4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생체량에 있어서는 10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우점 4종은 각자 독특한 출현량의 계절변동(季節變動)을 나타내었다. 이들 종은 한 어종이 최대 출현량을 나타낸 후, 다른 어종이 최대 출현량을 나타내는 데는 약 2개월 정도 소요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