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Nitrogen Top-dressing Method on Grain Quality of Barley in Japanese Volcanic Ash Soil

일본 화산회토에서 질소 시용방법이 보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5.08.01

Abstract

Effects of nitrogen top-dressing method on quality of barley were evaluted over amount of 2 and 4 kg per 10a on volcanic ash soil in Japan under regrowth stage, productive tiller stage and heading stage. 55% milling time was longer by the amount of top- dressing, but that was not influenced by the times of top-dressing. And glassiness, whiteness, hardness and 8 minute- millng rate were not influenced by times and amounts of top-dressing. Crude protein rate of grain was increased by amount of nitrogen top-dressing, but that did not correlated with time of nitrogen top-dressing. Crude protein rate of gra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55% milling time. But that did not correlated with whiteness of 8 minute-milled grain. 8 minute-milling rat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hiteness of 8 minute-milled grain. There was no visible difference of protein matrix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different nitrogen levels.

질소의 추비가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3년 일본의 동북농업시험장의 화산회토인 포장에서 미유기 보리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재생기, 유효분벽기 그리고 출수기에 유안을 질소 성분량으로 2 또는 4kg을 추비하였다. 도종율 백도 조단백질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5% 도종기간은 2kg을 추비하면 길어지나 추비 시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백도, 경도 그리고 도종율도 추비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원맥의 조단백질함량은 추비에 의하여 증가하였으나 시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원맥의 조단백질함량과 55% 도종기간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8분 도정림의 백도와는 상관이 없었다. 4. 8분 도종율 및 8분도정립의 백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8분 도종율과 55% 도종시간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백도 형질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5.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의한 미세구조관찰에서 추비처리에 의한 Protein matrix의 차이는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