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jor Characteristics Affecting Popping Volume of Popcorn

튀김옥수수의 튀김부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특성

  • Published : 1995.04.0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ajor characters affecting the popping volume of popcorn. Tuygimok 1 (Kp1 ${\times}$ Kp2) and 8 popcorn hybrids' agronomic characters were tested to evaluate a certain extent how much they affect on the popping volume. Moisture con-tent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failed to evaluate the optimum moisture con-tent level in this experiment moisture range (12.2-14.4%) because popping volume increased as moisture content of kernels increased. The maximum popping volume was obtained at 55-60kg of kernel hardness, 80-90,um of pericarp thickness and 45-50% of S/H (Soft/Hard starch). But the Em/En(Embryo/Endosperm) ratio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opping volume. Therefore the minimum popping volume was observed at the 10-11 % of Em/En ratio. Moisture content, hardness, pericarp thickness, Em/En and S/H ratio were selected as the appropriate variables for the maxi-mum popping volume using the stepwise forward regression method and the expecting popping volume was estimated by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mular. The mean popping volume of ninepopcorn hybrids was about 29.2cm3/g.

튀김옥수수의 튀김부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특성을 조사하여 양질의 튀김옥수수 교잡종육성에 활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AS의 Stepwise/Maxr에 의하여 선정된 튀김부피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독립변수는 수분함량, 종실경도, 과피두께, 배/배유 비율 및 연질/경질녹말 비율이었으며 이들 변수로 산출된 튀김옥수수 교잡종들의 예측 튀김부피의 평균은 29.2$cm^3$/g이었다. 2. 수분함량에 따는 튀김부피는 본 시험의 범위에서 (12.2-14.4%)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튀김부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대 튀김부피를 나타내는 종실의 최적 수분함량을 예측하기 어려웠다. 3. 종실의 경도는 55-60kg/kernel일 때 최대의 튀김부피를 나타냈으며 100립종과 정의 상관을 배/배유 비율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4. 과피의 두께는 80-9$\mu3$m일 때 최대의 튀김부피를 나타냈으며, 종실의 길이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과피/종실중 비율은 종실경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배/배아 비율은 낮은 것이 좋았으며 10-11%일 때튀김부피가 가장 낮고 100립종, 종실경도, 수분함량 및 튀김부피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으며 튀김옥수수의 튀김부피는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연질/경질녹말 비율은 45-50%일 때 최대의 튀김부피를 나타냈으며 튀김부피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