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자료와 구름물리를 토대로 한 호우모형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eavy Rainfall Model Based on the Ground Surface Data and Cloud Physics

  • 김운중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이재형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발행 : 1995.12.01

초록

강수의 물리과정에 입각한 호우모형이 전일권(1994)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 이를 수정하였다. 본는 연구 모형에서 구성한 주요 부분은 포화증기압, 구름두께, 운정기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모형과 달리 본 연구 모형의 입력자료로써 위성에 의해 측정된 운정기온과 알베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존의 포화증기압 방정식보다 현실에 가까운 방정식을 획득하였으며 기존 방정식의 단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운정기온과 운정기압 추정에 사용된 매개변수가 소거되었으며 계산시간도 단축되었다. 본 연구 모형을 전주지점의 호우사상에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모형의 출력인 총강우량과 강우 패턴이 실측치에 잘 부합되었다.

The physically based heavy rainfall model developed by Ceon(1994) for storm events is modified in this study. The main parts of this paper are composed of modeling saturation vapor pressure, cloud thickness, cloud top pressure. In a different way from the previous model, cloud top temperature and albedo measured by satellite are used as input data to the model. In this paper, the defect of saturation vapor pressure equation in the previous model was improved. Furthermore, the parameters for temperature and pressure on cloud top are eliminated as well as the time of calculation in the model is decreased.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very small gab between the hourly calculated.

키워드

참고문헌

  1. MR 90-6 위성 자료를 이용한 구름층의 수분추정 기상연구소
  2. 한국수문학회지 v.25 no.4 구름 물리학을 토대로한 지점 호우모형 개발 이재형;선우중호;전일권;정재성
  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14 no.5 물리모형을 토대로한 호우 예측 이재형;선우중호;전일권;황만하
  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14 no.2 기상 자료 미계측 지점의 강우 예보 모형 이재형;전일권
  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12 no.2 지점 호우 모형의 매개상수 동정에 관한 기초 연구 이재형;전일권;조대현
  6.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강수의 물리과정에 입각한 호우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전일권
  7. W.R.R. v.20 no.11 A hydrologically useful station precipitation model:1. formulation Georgakakos,K.P.;Bras,R.L.
  8. J. Assoc. Comp. Mach. v.8 no.2 Direct search solution of numerical and statistical problems Hooke,R.;Jeeves,T.A.
  9. W.R.R. v.3 no.4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 Huff,F.A.
  10. The physics of clouds Mason,B.J.
  11. Atmospheric science. An introductory survey Wallace,J.M.;Hobbs,P.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