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한국잡초학회지)
- Volume 14 Issue 4
- /
- Pages.233-238
- /
- 1994
- /
- 0253-7648(pISSN)
Sprouting and Emergence Properties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올방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 및 출현(出現) 특성(特性)
- Lee, H.K. (Agricultural Chemicals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I.Y. (Agricultural Chemicals Research Institute, RDA) ;
- Ryu, G.H. (Agricultural Chemicals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J.O. (Agricultural Chemicals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E.J. (Agricultural Chemicals Research Institute, RDA)
- Received : 1994.09.12
- Published : 1994.12.30
Abstract
The experiment on sprouting and emergence properties of Eleocharis kuroguwai was conducted at laboratory and greenhouse conditions in 1993. Most of tubers had the apical dominance of buds at sprouting and had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for mesocotyl elongation. When pyrazosulfuron was applied on soil surface, all of apical buds were killed, but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buds survived to 50% and 90%, respectively, and the third lateral buds were almost at presprouted state. The tubers at 10-15cm deep soil emerged 1 week late and 35% low in emergence rate compared with the tubers at 2-5cm deep. As the plants emerged from the deep soil, the mesocotyl and the roots were distributed at deep soil more or less. Among the tubers buried at 10cm and 15cm deep soil, 25% and 30% respectively were not emergerd due to the suspension of mesocotyl elongation. Although the roots and shoots were removed from the tubers at the stage of 20cm high, all of mother tubers emerged again even 2 weeks late.
올방개 괴경(塊莖) 눈의 맹아특성(萌芽特性), 중경(中莖)과 뿌리위치(位置)의 변화(變化) 및 재생력(再生力) 등을 구명하여 방제약제개발(防除藥劑開發) 및 사용기술(使用技術)에 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1993년 실내(室內) 및 온실시험(溫室試驗)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부분(大部分)의 괴경(塊莖)은 보통 1개의 눈만 맹아(萌芽)하고 앞의 눈이 제거(除去)되면 다음 눈이 순차적으로 맹아(萌芽)하는 정아우세성(頂芽優勢性)과 2개 이상의 중경(中莖)이 동시(同時)에 신장(伸長)하지 않는 경합관계(競合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2. 제초제(除草劑)(pyrazosulfuron)처리(處理)에 의해서 정아(頂芽)는 전부 고사(枯死)하였으나 제1, 제2측아(側芽)는 각각 50%와 90%가 생존(生存)하였으며 제3측아(側芽)는 거의 맹아(萌芽)하지 않는 상태(狀態)로 생존(生存)하였다. 3. 토양(土壤) 10-15cm의 심층(深層)에 있는 괴경(塊莖)은 2-5cm 깊이의 표층(表層)에 있는 괴경(塊莖)에 비하여 1주일(週日) 늦게 출현(出現)하였고 출현율(出現率)도 35% 정도 낮았다. 4. 심토(深土)에서 발생(發生)하는 올방개일수록 중경(中莖)과 근부위치(根部位置)가 깊어지므로 발생(發生)깊이에 따라 약제반응(藥劑j反應)이 달라질 수 있었다. 5. 토양(土壤) 10cm와 15cm 깊이의 심층(深層)에서 발생(發生)할 경우(境遇) 중경신장(中莖伸長)이 정지(停止)되어 출현(出現)하지 못한 괴경(塊莖)의 비율(比率)이 각각 25%와 30%로서 심층(深層) 경(莖)의 출현율(出現率)이 낮았다. 6. 식물체(植物體)에서 늦게 떼어낸 괴경(塊莖)일수록 재생(再生)이 늦었으나 초장(草長) 20cm(줄기 6-9개)일 때 떼어낸 괴경(塊莖)일지라도 약 2주후(週後)에는 모두 재생(再生)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