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emic Pneumonia Caused by Mycoplasma Pneumoniae

유행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에 대한 고찰

  • Byun, Joo-Nam (Department of Radiology, Colla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 Kim, Young-Chul (Department of Radiology, Colla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변주남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영철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Background: Most studies of Mycoplasma pneumonia involve a group of admitted patients in hospital, usually with major medical illness. So we investigated the epidemiologic and radiologic features during the course of outbreak of pneumonia in Chunnam coastal a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 of 105 patients with serologically proven Mycoplasma pneumonia treated at Kwang-Yang Hospital during a epidemic period of Jun.1993 to Dec.1993. All cases of pneumonia developed in this period were also reviewed and compared with serologically proven group. Results: 1) There were 63 males and 42 females. 2) More than half(57%) of cases belonged to 5-9 years of age group, and mean age was 6.5 years old. Mean age was steadily decreased as prevalence of Mycoplasma pneumonia had been subsided. 3) A major determinant of the outbreak seemed to be the population density rather than the population size. 4) The common radiologic features were interstitial in type, and 67 cases was restricted to one lobe. Lobar types are more common in late childhood, and interstitial or diffuse types in early childhood. Conclusion: These epidemiologic and radiographic characteristics would contribute to the diagnosis of Mycoplasma pneumonia.

연구배경 : 유행 질환인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는데 병원 자료의 이용에 제한점을 극복하고, 이 질환의 좀더 가까운 자연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방법 : 1993년 6월 부터 12월 까지 6개월 동안 전남의 한 해안지방에서 유행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혈청학적으로 확진된 105예와 이에 더하여 같은 기간에 발생한 모든 폐렴으로서 확진되지는 않았으나, 의심되는 경우를 포함한 224명을 대상으로 하여 역학적 및 방사선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남녀비는 1.5:1 이었다. 2) 연령분포는 5-9 세 사이가 57%로 평균 나이는 6.5세였고, 유행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기별 평균연령은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3) 인구 집단의 크기보다 집적성이 발생 빈도의 모형에 영향을 준다고 추정되었다. 4) 방사선 소견으로서는 단일 형태로서 간질성 폐렴이 가장 많았으며, 67예(74.5%)에서 한 엽에 국한된 병변을 보였다. 또한 대엽성 폐렴은 학동기에, 간질성 이나 미만성 폐렴은 유아기에 많았다. 결론 : 이상의 특성들은 향후 이 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