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of Farmers' Application Rates of Chemical Fertilizer and Farm Manure for Major Crops

주요(主要) 논·밭 작물(作物)에 대한 농가시비(農家施肥) 실태(實態)

  • Published : 1994.09.30

Abstract

Rate of conventional allp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farm manure were surveyed for 23 crops and 13,259 farms on paddy and upland fields in 1992. 1. Farmers have applied fertilizers more than optimum levels on vagetable crops. Based on the optimum levels of N, P and K, the excess ratios of N, P, K fertilization were 40%, 138%, and 53% in vagetable crops and 38%, 7%, and 0% in field crops, respectively. 2. Among provinces, the fertilizer application for paddy rice was higher in Chung-nam and Jeon-buk, which have had higher yield compared to other provinces. And that for red pepper was higher in Kang-won, Jeon-nam, Jeon-buk, Kyeong-nam, Kyeong-buk, and for chinese cabbage in Kang-won and Chung-nam. 3. The fertilizers rates at a chief producing districts of crops(CPD) were higher in vagetable crops than in field crops. 4. Compared with total fertilizer levels of open culture, excess fertilizers in plastic house were 5.9kg/10a(21%) of nitrogen, 8.7kg/10a(52%) of phosphorus and 7.1kg/10a(34%) of potasium. In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fertilizer levels of sweet corn, red papper, tomato and lettuce were higher in plastic house, while those of cucumber, strawberry, radish, chinese cabbage were higher in open culture. 5. Ratio of farmers who applied farm manures was below 60 % on field crops and 69~100% on vagetable crops. 6. The compound fertilizer for paddy rice(21-17-17) was applied on all the crops and its applic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all the crops except for paddy rice(single cropping), malting barley, soybean, sesame.

23개 작물(作物) 13,259점(點)에 대한 농가(農家) 시비량(施肥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 농가시비량은 시비기준량에 비해 일반작물(一般作物)의 경우 평균적(平均的)으로 질소(窒素) 38%, 인산 7% 정도 과비(過肥)되었으나 채소작물(菜蔬作物)에 대해서는 질소(窒素) 40%, 인산(燐酸) 138%, 가리(加里)는 53% 과비(過肥) 경향(傾向)이었음. 2. 주요작물(主要作物)에 대한 시비량(施肥量) 차이(差異)를 도별로 나누어 보면 벼에 대한 시비량은 비교적 타지역(他地域)보다 단수(段收)가 높은 충남(忠南)과 전북지성(全北地城)이 다른 지역보다 40~50% 많았으며, 밭 작물(作物)의 콩과 참깨의 경우는 지역간(地域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음. 고추는 강원(江原), 전남북(全南北), 경남북(慶南北)에서 많았고, 배추는 강원(江原)과 충남지역(忠南地域)에서 많았음. 3. 주산지(主産地)의 시비경향(施肥傾向)을 비주산지와 비교하여 보면 대체로 주산지(主産地)의 시비량(施肥量)이 일반작물보다 채소작물(菜蔬作物)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4. 재배작형(栽培作形)으로 볼때 재배환경(栽培環境)이 좋아 생산량이 노지(露地)보다 많은 시설재배(施設栽培)에서 질소(窒素) 5.9kg/10a(21%), 인산(燐酸) 8.7kg/10a(52%), 가리(加里) 7.1kg/10a(34%)가 더 시비되는 경향이었는데, 대체로 옥수수, 고추, 토마토, 상추에 대한 화학비료 시용량은 시설재배(施設栽培)에서, 오이, 딸기, 무, 배추의 경우는 노지(露地)에서 많았음. 5.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는 일반작물(一般作物)의 경우 대체로 60%이하의 농가(農家)에서, 채소작물(菜蔬作物)에는 69~100%의 농가(農家)에서 시용(施用)되었고 채소작물의 시용량(施用量)이 더 많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주산지(主産地)와 비정산지(非定産地)로 나누어 볼때 일반작물(一般作物)에 대한 시용량은 비주산지(非主産地)가 재료(材料)가 충분(充分)하여 더 많이 주는 경향이나 채소작물(菜蔬作物)는 주산지나 비주산지 큰 차이(差異) 없이 필수적(必須的)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6. 작물별(作物別)로 많이 사용(使用)하는 복합비료(複合肥料)는 고농도의 수도용 복합비료 이었음. 특히 수도용복합 비료는 전용복합비료가 있건 없건간에 벼(1모작)와 맥주보리, 콩, 참깨를 제외(除外)한 모든 작물(作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음.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