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peech Recognition using DMS Model

DMS 모델을 이용한 음성인식에 관한 연구

  • An, Tae-Ock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CHonbuk Sanup University of Korea) ;
  • Byun, Yong-Kyu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Seoul Polytechnique University of Korea)
  • 안태옥 (전북 산업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변용규 (서울 산업 대학교 전자계산학과)
  • Published : 1994.01.01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DMS(Dynamic Multi-Section) model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imilar features in word pattern. This model represents each word as a time series of several sections and each section implies duration time information and typical feature vectors. The procedure to make a model in the word pattern is that typical feature vector and duration time information are reflected in the distance, when matching between word pattern and model is repeated. As the result of it, the accumulated distance by matching is to be minimized.

본 연구는 단어 패턴 중 유사한 특성의 정보에 기초를 둔 DMS(Dynamic Multi-Section)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은 각각의 단어를 몇 개의 구간(Section)의 시계열로 분할하고, 각각의 구간 모두에 지속 시간 정보와 구간을 대표하는 특징 벡터를 구간의 정보로 등록해 둔 것이다. 단어 패턴에서 모델을 작성하는 절차는 대표 특징 벡터와 지속 시간의 정보를 거리에 따라 반영하면서 단어 패턴과 모델과의 매칭을 반복하여 매칭에 의한 누적 거리가 최소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안된 음성 인식 실험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비교를 위해 DP 방법, HMM 방법 및 MSVQ 방법에 의한 음성 인식 실험을 같은 조건하에서 같은 데이터로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DMS 모델을 이용한 음성 인식시에도 DMS/DP 방법에 의한 인식 및 DMS/VQ에 의한 인식률은 89.3%이다. 또한 DMS 모델을 이용한 DMS/DP에 의한 인식률은 95.8%이고, DMS/VQ에 의한 인식률은 96.8%이다. 그러므로, DMS 모델을 이용한 DMS/VQ 방법에 의한 인식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잇는 DP 방법이나 HMM 방법 및 MSVQ 방법과 비교해 볼 때 인식률도 우수하며, 기억 용량 및 계산량도 감소되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DMS 모델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