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tection of Intracranial Calcification by MR : Experimental Model

실험적 모델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석회화의 인지

  • 박승진 (경상대학교병원 진단방사선과)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Purporse : It is known that detection of calcification by MRI is difficulty in intracranial calcified lesions, but author tried to evaluate the signal intensity image of calcification by MR with experimental model. Subjects & Methods : Author analyzed and compared with values of calcium carbonate and hydroxyapatite phantoms by each concentration (10, 20, 30, 40, 50%) and size(1-10mm), measured ROI attenuating from CT and MRI(TlWI & T2WI). Results : The high concentration of calcium carbonate is, the lower the signal intensity of calcium carbonate phantom is both T1 & T2WI. For concentration of Hydroxyapatite of up to 30% by weight the signal intensity on standard T1 weighted images increased but subsequently decreased. Hyperintensity does not preclude calcification as a cause of the signal alteration-an observation that all radiologists interpreting MR images need to be aware of. Conclusion: The signal intensity of intracranial calcification is various on MR imaging in concerning with components, concentration, & size of calcification, and especially high signal intensity of intracranial calcification noted differencial diagnosis.

연구목적 : 두개내 석회화 병변이 있을때 자기공명영상에서 석회화의 인지는 어렵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험적 모델을 통하여 자기공명영상에서 석회화의 신호강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과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공을 이용하여 일정한 농도(10, 20, 30 40, 50%) 및 크기 (l-10mm)에 따라 Gel형태의 Phantom으로 만들어 전산화단층촬영 및 MRI의 TI및 T2 강조영상을 얻어 각각 나타나는 소견과 ROI값을 비교분석하고 실제 석회화를 동반한 두개내 병변이 있었던 2예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 탄산칼슘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1과 T2 강조영상에서 저신호강도가 뚜렷하였으며, T1 강조영상에서 수산화인회석의 경우는 10, 20, 30%에서 가장 고신호강도를 나타냈으며 40, 50%로 농도가 증가할 수록 저신호강도로 역전되었다. 가성부갑상선 기능저하증 1예도 기저핵에서 T1강조영상상 고신호강도를 보였다. 결론 : MRI에서 석회화의 신호강도는 석회화의 성분, 농도,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고 특히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경우 다른 질환과 감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