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ational Procedure for Sea Subface Topography of East Asian Marginal Seas using Geosat Altimeter Data

Geosat 고도계자료를 이용한 동아시아해역의 해면변위 산정법

  • 최병호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
  • 고진석 (성균관대 한국해양연구소 학연)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As satellite altimetry is being progressed to apply with heigher precision to maginal seas, it was necessary to improve correction procedures for tidal signals in altimetry with more accurate tidal model than well-known model of Schwiderski for studying marginal sea dynamics. As a first step, tidal regime of semidiurnal tides$(M_2,\;S_2,\;N_2,\;K_2)$ and diurnal tides$(K_1,\;O_1,\;P_1,\;Q_1)$ were computed with a finer details of formulation of tidal model over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covering the Okhotsk Sea and South China Sea and part of Northwest Pacific Ocean with mesh resolutions of 1/6$^{\circ}$. Subsequently the computed sets of harmonic constants from the model were used to remove the tide in selected Sea Surface Heights from Geosat in the modelled region. Preliminary correction procedure suggest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extensively used for obtaining Sea Surface Topography over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especially for the region where Schwiderski's harmonic constants are not available.

연근해에서의 위성고도계자료의 정확도가 향상됨에 따라 기존에 잘 알려진 Schwiderski 의 전구적 동수력학적 모형보다 더 정확한 조석모형으로 위성고도계자료에서의 조석성분에 대한 보정을 향상시킬 필요가 검증되었다. 초기단계로 오오츠크해, 남중국해와 북서태평양해성을 포함하는 동아시아해역에 대해 기존의 조석모형보다 해상도가 높은 $1/6^\circ$ 격자체계의 조석모형을 수립하여 반일적조$(M_2,\;S_2,\;N_2,\;K_2)$와 일적조$(K_1,\;O_1,\;P_1,\;Q_1)$에 대한 수치모형실험이 이루어졌다. 수립된 조석모형에서 산정된 조화상수들은 모형 영역의 Geosat 위성고도계자료로부터 해면변위를 산정할 때 조석성분을 제거하는데 이용되었다. 이러한 초기적인 갱정절차의 제시는 Schwiderski 의 조화상수로서는 적절히 처리될 수 없는 동아시아해역의 연해에 대해 해면변위를 산정하는데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Keywords